저축은행 자산건전성 ‘적신호’… 부실채권·연체율 모두 5% 넘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축은행 업계의 고정이하여신비율과 연체율이 나란히 5%를 넘기면서 자산건전성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업계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5.1%로 집계됐다.
저축은행업계의 연체율은 1분기에 5.1%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 2014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 14∼15%와 비교했을 때 5%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감원장 “관리 가능한 수준”
저축은행 업계의 고정이하여신비율과 연체율이 나란히 5%를 넘기면서 자산건전성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업계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5.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4.04%)에 비해 약 1.1%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NPL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 등인 부실채권이다. 부실채권이 총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를 넘긴 것은 연말 기준으로 2018년(5.05%)이 마지막이다. NPL 비율은 2019년 4.7%, 2020년 4.24%, 2021년 3.35% 등으로 하락세를 보이다 지난해 4.04%로 반등했으며 올해 1분기에 5%를 돌파했다. 저축은행업계의 연체율은 1분기에 5.1%로 잠정 집계됐다. 5%를 넘긴 것은 2016년 말(5.83%) 이후 처음이다. 연체율은 2017년 4.57%로 떨어진 이후 2021년에는 2.51%까지 내려섰지만, 지난해 3.41%로 반등한 이후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건전성 지표 악화에도 저축은행 업계에선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지난 2014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 14∼15%와 비교했을 때 5%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달 28일 “건전성과 시스템 리스크와 관련해 저축은행 포트폴리오는 여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연체율 상승이 신규 연체 외에도 NPL 매각 지연 등과 연관된 만큼 NPL 매각 통로를 다양화하는 등의 해법을 논의하고 있다. 이 원장은 “연체율 증가에 대해서는 상각 대상 자산의 매각, 상각 절차가 지연되는 부분이 있어 금융기관들이 조금 더 신속하게 부담을 덜어낼 방법이 있는지 금융회사·협회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만 팔도록 한 것을 다른 민간업체에도 매각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정경 기자 verite@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바그너 수장 “포탄 10~15%밖에 없다…탄약 안주면 바흐무트서 철수할 것” 푸틴 협박
- “바이든, 尹과 듀엣하려 했다” 박지원 비난에 대통령실 “반국가적 작태” 역공
- 회사 ‘52조’ 빚더미 앉았는데 임원 연봉 30% 오른 이곳
- “내가 번 돈 쟤 다 줘”…임창정, 투자자 행사 또 참석 ‘논란’
- ‘동물농장’ 이어 ‘놀토’에도…신동엽 ‘하차 논란’ 일파만파
- ‘꿈의 원전’ SMR로 글로벌 600조 시장 선점 나선다
- “따뜻한 선임이자 친구”…임영웅 이번엔 軍 미담
- 홍준표, “전광훈, 급기야 대통령실 물고 들어가…연결 고리 못 끊으면 당도 아냐”
- “사실혼은 자본주의 문화, 엄격 처벌”…北, 포고문 발표·단속
- ‘박은빈 출연’ 드라마 촬영장에 벽돌 던진 40대 남성…경찰 조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