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저축은행 부실채권·연체율도 나란히 5% 넘겨···"자산 건전성 악화"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축은행 고정이하여신(NPL) 비율과 연체율이 나란히 5%를 넘겼다.
저축은행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중·저신용자 차주의 어려움이 커지면서 연체율과 NPL 비율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축은행 고정이하여신(NPL) 비율과 연체율이 나란히 5%를 넘겼다. 미국 퍼스트리퍼블릭뱅크의 파산 우려 속에서 국내 저축은행의 자산 건전성도 안심할 수 없게 됐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저축은행 업계와 금융 당국은 여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저축은행 업계의 NPL 비율은 5.1%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말 4.04%보다 약 1.1%포인트 높아졌다. NPL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으로 총여신 대비 부실채권 비율인 NPL 비율이 5%를 넘긴 것은 연말 기준으로 2018년(5.05%)이 마지막이다. NPL 비율은 2019년 4.7%, 2020년 4.24%, 2021년 3.35% 등으로 하락했다가 지난해 4.04%로 뛰어오른 바 있다.
저축은행 업계 연체율도 올해 1분기 5.1%로 잠정 집계됐다. 5%를 넘긴 것은 2016년 말의 5.83% 이후 약 6년 만이다. 연체율은 2021년 2.51%까지 내려갔지만 지난해 3.41%로 반등한 후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중·저신용자 차주의 어려움이 커지면서 연체율과 NPL 비율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저축은행 업계 및 금융 당국은 자산 건전성이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실제로 저축은행 업계의 1분기 평균 자기자본비율(BIS)은 13.6%로 전년 말(13.15%) 대비 0.45%포인트 올랐다. 금융 당국의 저축은행 BIS 권고 비율은 11%다. 1분기 유동성 비율 역시 법정 기준인 100%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241.4%로 나타났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지난달 27일 “2014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14~15%)과 비교하면 5%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으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달 28일 “건전성·시스템 리스크와 관련해 저축은행 포트폴리오는 여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융 당국은 신규 연체 이외 NPL 매각 지연 등도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만큼 NPL 매각 통로 다양화 등을 논의하고 있다.
조윤진 기자 jo@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법카’로 구찌·샤넬 41억어치 샀다…경리 직원의 최후
- '52조 빚더미'에도…임원 연봉 30% 인상한 공기업
- 임신부들 마셨는데…버드와이저 '무알코올 맥주' 세균 초과
- 여성공무원도 男과 같이…제주도청, 양성통합 당직제 시행
- [넷플릭스 모니터] '성+인물'의 시선, 日 AV계는 긍정적인 면만 있나요?
- 韓여성만 골라 성폭행 과정 촬영까지 한 男…배심원 만장일치 평결은?
- '나 건달인데'…실내흡연 피해 호소에 달린 협박성 답변 '황당'
- 자식 만류에도 비닐하우스서 10여년 산 노부부…화마에 참변
- '돈 없는데 갈비탕 좀'…외상 부탁 20대女 주문내역 '황당'
- ''곱창김' 먹지 말고 당장 반품하세요'…인공감미료 초과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