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 고물가 허리 휘는데…찰스3세 대관식에 혈세 1천700억원

황윤정 2023. 4. 30. 19: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음 달 6일(현지시간) 열리는 영국 찰스 3세 국왕의 대관식이 70년 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에 비해 간소화하게 치러질 예정이지만 그 비용이 최소 1억파운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영국 언론들도 찰스 3세의 대관식에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대관식 비용의 약 2배인 1억파운드의 비용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언론 추산치…엘리자베스 2세 때보다 2배 정도 많아
"공공서비스에 쓰면 한사람 아닌 많은 사람에게 유익"
대관식 앞둔 영국 웨스터민스터 사원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다음 달 6일(현지시간) 열리는 영국 찰스 3세 국왕의 대관식이 70년 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에 비해 간소화하게 치러질 예정이지만 그 비용이 최소 1억파운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국민들이 고물가로 허덕이는 상황에서 대관식에 1억파운드에 달하는 세금을 투입하는 것을 두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대관식과 윈저성 콘서트 등 축하 행사들이 "왕에게 어울리는 파티가 될 것이고 그에 걸맞은 가격표가 붙을 것"이라며 "영국 납세자들이 적어도 1억파운드(약 1천685억원)의 비용을 지불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8일 보도했다.

영국 언론들도 찰스 3세의 대관식에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대관식 비용의 약 2배인 1억파운드의 비용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대관식 비용은 157만파운드로 추산된다.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5천600만파운드(약 944억원)다. 과거보다 보안 비용이 더 늘어난 것이 대관식 비용을 끌어올린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됐다.

영국 공장에 전시된 찰스 3세 국왕 대관식 기념 도자기 (스토크온트렌트 AFP=연합뉴스) 13일(현지시간) 영국 중부 스태퍼드셔주(州) 스토크온트렌트시(市)의 한 공장 선반에 내달 6일 거행될 찰스 3세 영국 국왕 대관식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공식 도자기가 전시돼 있다. 영국 왕실 거처와 미술품 등을 관리하는 로열 컬렉션 트러스트(RCT)가 제작한 다양한 종류의 도자기는 다음날인 14일부터 판매될 예정이다. 2023.04.14 jason3669@yna.co.kr

군주제 폐지를 주장하는 시민단체 '리퍼블릭'의 그레이엄 스미스 대표는 "1억파운드도 보수적으로 잡은 것"이라며 "납세자가 지출하기에는 과도한 금액"이라고 비판했다.

타임은 찰스 3세의 화려한 대관식이 "수십년간 계속된 고물가로 파업이 잇따르고 있는 영국의 암울한 경제 상황과 극명한 대조가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영국에서는 최근 몇 달 동안 의사, 교사 등 수십만명이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여왔다. 런던 히스로 공항 직원 등도 파업 대열에 합류, 대관식 축하 행사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고 타임은 전했다.

그레이엄 대표는 1억파운드를 "한 사람을 위한 퍼레이드에 쓰는 것보다 공공 서비스, 노숙자, 빈곤 문제 등에 쓴다면 많은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영국 여론도 싸늘하다. 여론조사회사 유고브의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대관식 비용을 정부가 지원해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은 32%에 그쳤다.

왜 왕실이 직접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가디언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찰스 3세의 개인 재산은 18억파운드(약 3조332억원)로 추정됐다.

yunzhe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