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레이트 지붕교체 자부담 커 주민 기피…석면 시한폭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악성중피종(암) 등을 유발하는 부산지역 석면 슬레이트 지붕 건축물이 2만5000동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개 구·군 중 부산진구에 가장 많았지만, 정작 부산진구는 시가 관리하는 슬레이트 밀집구역에 빠져 있어 지난 14년 동안 진행한 주민건강영향조사로 고작 11명의 석면 질환자만 찾아냈을 뿐이다.
부산 지역은 1960~1970년대 구하기 쉽고 값싼 석면 슬레이트를 많이 사용해 현재 대다수 지붕이 내구연한을 넘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인근 주민에게도 질환 유발 위험
- 개량비 최대 700만 원 집주인 몫
- 부산진구 4375동 최다 분포인데
- 정작 市 관리 밀집구역서 제외돼
악성중피종(암) 등을 유발하는 부산지역 석면 슬레이트 지붕 건축물이 2만5000동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개 구·군 중 부산진구에 가장 많았지만, 정작 부산진구는 시가 관리하는 슬레이트 밀집구역에 빠져 있어 지난 14년 동안 진행한 주민건강영향조사로 고작 11명의 석면 질환자만 찾아냈을 뿐이다. 특히 석면이 10~15% 들어간 슬레이트 지붕은 내구연한인 30년이 넘으면 노후화로 인해 주민 건강을 심각히 위협, 제거가 급선무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석면 지붕 교체 사업 때문에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30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약 900개의 슬레이트 지붕을 철거 또는 교체할 계획이다. 부산 슬레이트 지붕 실태 현황 조사(2021년)를 보면, 부산 전체에 2만5515개의 슬레이트 지붕이 있고 주택 지붕이 전체의 86%(2만2120동)를 차지한다. 나머지는 ▷창고 3.4%(871동) ▷공장 2.7%(684동) ▷축사 0.6%(164동) 등이다. 시는 지난해 약 500동의 석면 지붕을 제거하는 등 2012년부터 지금까지 1만2682개의 지붕을 철거했다.
슬레이트 지붕은 석면이 10~15% 들어간 대표적인 고함량 석면 건축자재다. 내구연한 30년이 지나면 석면 가루가 공기 중으로 흩어져 거주자는 물론 인근 주민에 석면 질환을 유발할 위험성이 커진다. 부산 지역은 1960~1970년대 구하기 쉽고 값싼 석면 슬레이트를 많이 사용해 현재 대다수 지붕이 내구연한을 넘긴 것으로 추정된다.
슬레이트 지붕 건축물이 가장 많은 지역은 전체 4375동(주택 3924동)이 있는 부산진구다. 이어 ▷남구 3005동(주택 2820동) ▷영도구 2838동(2577동) ▷사하구 2526동(주택 2271동) 순이다. 통계만 보면, 환경성 석면 피해 인정자가 부산 남구 영도구 사하구 등에 이어 부산진구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부산진구는 시가 관리하는 11개 슬레이트 밀집구역에서 제외돼 있다. 이 때문에 시가 14년 동안 주민건강영향조사 방문 검진 구역에서 빠져 그간 석면 피해 인정자 785명 가운데 부산진구는 고작 11명만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시와 환경부가 2012년부터 진행하는 슬레이트 지붕 철거 및 개량 지원 사업이 현실과 동떨어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환경부는 올해 철거비 지원 한도를 동당 352만 원에서 700만 원까지 확대하고 개량 사업에 약 300만 원을 지원한다. 석면 지붕을 없애지 않은 집 중 실거주하는 가구는 철거 대신 지붕을 다시 씌우는 개량 사업을 선호하지만, 자부담비로 500만~700만 원이 더 들어가야 해 개량에 소극적이다. 또 전체 중 43%(1만1023동)가 무허가인 데다, 슬레이트 지붕이 방치된 빈집은 명확한 현황 자료조차 없어 ‘석면 시한폭탄’ 제거에 애를 먹고 있다.
시 관계자는 “취약계층은 개량비를 추가 지원하지만, 개량 신청 시 자부담 발생 금액을 듣고 10명 중 3명은 취소하고 있다. 낮은 개량비로는 오랜 시간 제거하지 않은 이들을 설득하기 어렵다”며 “방치된 무허가 건물이나 빈집은 석면 노출이 우려되는 만큼 석면 지붕만이라도 우선 걷게 해달라고 환경부에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