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노멀-실리콘밸리] 인공지능 규제 늦다면 안전장치라도 세워야

한겨레 2023. 4. 30. 18: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시이에스'(CES), '엠더블유시'(MWC) 등 글로벌 주요 콘퍼런스를 현장 취재했다.

올해 가장 큰 주제는 예외 없이 챗지피티로 대표되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이를 어떻게 각 비즈니스에서 받아들이고 적응할 것인가였다.

에이아이 시대도 선도하는 구글, 아마존, 메타, 엠에스 등 빅테크 기업들의 막대한 로비력 때문에 각국 의회에서도 규제 관련 법 통과가 어렵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노멀]

게티이미지뱅크

[뉴노멀-실리콘밸리] 손재권 | 더밀크 대표

“지금 에이아이(AI) 혁명은 과거 모든 것을 바꾼 산업혁명과 같은 시기에 접어든 것이다. 소프트웨어 발전, 중공업 발전에 비해 에이아이 발전과 그로 인한 변화는 더 클 것이다.”(더밀크 주최 ‘실리콘밸리에서 본 지피티(GPT) 혁명’에서 크리스 예 블리츠스케일링벤처스 대표)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시이에스’(CES), ‘엠더블유시’(MWC) 등 글로벌 주요 콘퍼런스를 현장 취재했다. 올해 가장 큰 주제는 예외 없이 챗지피티로 대표되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이를 어떻게 각 비즈니스에서 받아들이고 적응할 것인가였다. 산업과 의료, 교육계 모두 지피티가 큰 충격을 줬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분주하게 분석하는 것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하지만 이제 숨을 고를 때다. 에이아이가 산업과 사회에 줄 영향과 파괴력이 크다면 그 부작용 또한 빠르고 깊게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실리콘밸리는 반도체, 인터넷, 스마트폰(모바일), 클라우드, 소셜미디어, 우버 등 신기술이 나올 때마다 몰아치듯 빠르게 신기술을 발표하고 파괴해야 할 대상에 틈을 주지 않는 정신(Move Fast and Break Things·빠르게 움직여 틀을 깨트린다는 뜻)이 뿌리 깊게 박혀 있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와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에 이어 지금은 오픈 에이아이의 샘 올트먼이 아이콘이다.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사회에 끼치는 영향까지 분석해야 하는 미디어는 이를 반성 없이 전달했으며 대중의 눈을 사로잡아 수익을 올리기에 급급(테크 저널리즘)했다.

인공지능 기술 발전의 더 큰 문제는 ‘규제’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에이아이 시대도 선도하는 구글, 아마존, 메타, 엠에스 등 빅테크 기업들의 막대한 로비력 때문에 각국 의회에서도 규제 관련 법 통과가 어렵다. 에이아이 슈퍼 강대국이 된 중국의 발전으로 인해 규제 논의는 더 조심스럽다. 에릭 슈밋 전 구글 회장 등 오피니언 리더들이 “중국에 뒤지는 꼴을 볼 것인가?”라며 기술 발전을 촉구하고 있을 정도다.

하지만 빠르게 침투하는 에이아이 시대에 부닥친 이용자(시민)의 두려움은 크다. 시장조사 전문기관(모닝컨설트)이 지난 2월17~19일 미국 성인 2205명을 대상으로 ‘생성에이아이의 문제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해선 10명 중 8명(74%)이 걱정했다. 특히 에이아이가 특정 산업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는 우려도 절반에 가까웠다.

‘법적’ 규제가 시간이 걸리고 쉽지 않더라도 에이아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각급 단체에서 연구하고 제도화할 수 있다. 고속도로에 가드레일(안전장치)이 없으면 과속과 추월로 사고가 나고 인명피해가 불가피하다. 인공지능 발전이 너무 빨라 규제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 서둘러 ‘가드레일’을 만들어 후폭풍을 최소화할 수 있다.

미국은 이미 시도 중이다. 미국 영화, 드라마 작가 조합은 지피티를 사용한 작품에 저작권은 인정되는지, 어디까지 허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북미 언론사들이 속한 ‘뉴스미디어연합’(NMA)에서도 생성에이아이 기술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런 도구로부터 뉴스 발행사의 지식재산과 브랜드·투자자들을 보호하는 원칙을 발표했다. 이 단체는 “에이아이 시스템은 뉴스 제작사의 독점 콘텐츠를 허가 없이 사용하고 있다”며 “에이아이가 뉴스 제작사와 언론인들이 만든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지식재산권 침해다”라고 선언했다. 미국 의료 및 산업계에서도 가이드라인 발표가 잇따른다. 한국도 네이버, 카카오, 케이티, 에스케이텔레콤, 엘지전자 등이 거대언어모델(LLM)을 보유하거나 개발 중이니 이에 대한 대응과 가이드라인 논의와 제정이 절실하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