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플랫폼 '춘추전국시대' 콘텐츠 내비게이션 만들었죠" [VC가 찜한 스타트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넷플릭스의 성공에 다수의 콘텐츠 제작사들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에 뛰어들면서 플랫폼이 범람하는 이른바 OTT춘추전국 시대가 도래했다.
키노라이츠는 최근 각종 OTT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콘텐츠는 무엇인지, 콘텐츠 평점은 어떻게 되는지, 어느 플랫폼을 구독해야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관련 정보·랭킹 서비스
평점 안매겨도 화제작 추천 강점
카벤·LG유플러스 등 투자 유치
넷플릭스의 성공에 다수의 콘텐츠 제작사들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에 뛰어들면서 플랫폼이 범람하는 이른바 OTT춘추전국 시대가 도래했다. 수많은 콘텐츠들이 쏟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콘텐츠와 플랫폼에 대한 선택에 상당한 애를 먹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2018년 1월 OTT 통합 플랫폼 키노라이츠가 등장하면서 소비자들은 이러한 고민에서 해방이 될 수 있었다. 키노라이츠는 최근 각종 OTT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콘텐츠는 무엇인지, 콘텐츠 평점은 어떻게 되는지, 어느 플랫폼을 구독해야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현재 월간활성이용자(MAU)는 50만 명 수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성장성에 키노라이츠는 카카오벤처스를 비롯해 유니온투자파트너·LG유플러스로부터 시리즈 A 투자까지 받았다.
30일 서울 역삼동 키노라이츠 본사에서 서울경제 기자와 만난 양준영 대표는 “OTT 시장은 한 개의 플랫폼이 독점 하기보다는 영향력 있는 플랫폼 위주의 과점 체계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며 “플랫폼이 여러 개로 나뉘어 있다면 콘텐츠를 추천 받고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라고 키노라이츠의 설립 배경을 설명했다. 대학생 시절부터 영화광이었던 양 대표는 “내가 좋아하는 콘텐츠를 추천하고, 다른 콘텐츠 매니아들로부터 좋은 작품을 추천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한국에는 크게 활성화 되지 않았다”며 “한국은 영화·드라마 등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은 나라인 만큼 관련 서비스를 개시하면 이용자 100만 명 이상을 확보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특히 키노라이츠와 같이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하고 있는 ‘왓챠피디아’와 달리 이용자가 콘텐츠 평점을 매기지 않고도 최근 화제작을 추천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경쟁력이라고 설명했다. 또 최근 화제가 되는 콘텐츠 관련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뮤니티가 활성화돼 있다는 점도 차별점으로 꼽았다.
현재 키노라이츠의 수익화 모델은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광고와 이용자 동의 하에 수집한 정보를 타사에 제공해 수익을 얻는 데이터 라이센스 사업 등이다. 추후 콘텐츠에 등장하는 제품을 유통하는 사업도 구상 중이다.
양 대표는 한 발 더 나아가 해외 진출도 준비 중이다. 그는 “동남아도 콘텐츠 플랫폼이 파편화돼 있고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다”며 “한국 시장에만 머무르지 않고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덕연 기자 gravity@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넷플릭스 모니터] '성+인물'의 시선, 日 AV계는 긍정적인 면만 있나요?
- 韓여성만 골라 성폭행 과정 촬영까지 한 男…배심원 만장일치 평결은?
- '나 건달인데'…실내흡연 피해 호소에 달린 협박성 답변 '황당'
- 자식 만류에도 비닐하우스서 10여년 산 노부부…화마에 참변
- '돈 없는데 갈비탕 좀'…외상 부탁 20대女 주문내역 '황당'
- ''곱창김' 먹지 말고 당장 반품하세요'…인공감미료 초과 검출
- 상사의 반복되는 업무 보완 지시…괴롭힘 아니다?
- '멧돼지인 줄'…엽사 오인 사격에 '비바크' 하던 50대 사망
- 바지 내리고 계단에 앉아 '끙'…''큰일' 보신 분 찾습니다'
- 호화생활 자랑하던 '주식 여신' 알고보니 166억 사기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