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가 공간에 정서를 투영하는 법…‘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 [전시리뷰]

송상호 기자 2023. 4. 30. 15: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드워드 호퍼作 '밤의 창문'.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한 남자가 오고가며 자신의 눈에 담겼던 공간을 캔버스 위로 불러낸다. 그의 눈에 비친 세계는 어딘가 익숙하면서도 낯설다. 기억과 상상이 뒤섞인 그의 공간은 현실에 있지만, 현실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상한 곳이다.

서울시립미술관의 2023년 해외소장품 걸작전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가 지난 20일부터 서소문본관에서 개막해 관람객을 만나고 있다. 이번 특별전은 서울시립미술관과 뉴욕 휘트니미술관이 공동으로 기획해 선보이는 작가의 첫 국내 개인전으로 화제를 모은다. 미국의 국민 화가 에드워드 호퍼의 전 생애에 걸친 작품 160여점, 산본 호퍼 아카이브의 자료 110여점을 7개 섹션으로 나눠 선보이는 전시다.

관람객들은 이번 전시에서 프랑스 파리에서 구도와 화풍에 변화를 줬던 호퍼의 삶을 들여다보기도 하고, 뉴욕이라는 도시가 지닌 시공간적 특성의 빈틈을 파고들었던 작업 스타일도 엿보는 기회를 얻기도 한다.

에드워드 호퍼作 '황혼의 집'.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호퍼는 자신의 눈에 담긴 장면들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지 않았다. 그가 캔버스에 풀어낸 공간에는 어떤 방식으로든 사연이 깃든다. 파리, 뉴욕, 뉴잉글랜드, 케이프코드 등 대도시부터 여행지 속 자연까지 호퍼는 일상 속에서 자신이 갔던 곳을 소재로 예술 세계를 표현해냈다.

사실 관람객은 ‘퀸스버러 다리’ 등의 작품을 볼 때면 그가 강 위의 배에서 강 건너의 풍경을 봤을지 배의 창문을 통해서 비친 풍경을 봤을지 알 수 없으며, ‘황혼의 집’, ‘밤의 창문’과 같은 작품을 통해선 그가 옥상에 서서 건너편 건물의 창가를 응시했을지 건물 안의 창문을 통해서 맞은편 사람을 바라봤을지도 예상하기 힘들다.

이처럼 그가 무심코 바라 봤던 교각의 돌출부, 목장의 지붕, 극장의 장식물 등 각 공간이 지닌 입체적인 특성뿐 아니라 그가 당시 장면을 바라봤던 위치와 구도도 명확히 파악할 수 없도록 모호하게 표현돼 있다는 점이 그림의 매력을 더한다.

호퍼의 그림 속 공간은 단순한 재현이 아니다. 전시장을 수놓는 호퍼의 그림들은 대부분 수직 구도보다 수평 구도에 맞춰져 있다. 눈의 시야각에 맞춘 영역까지만 표시하는 그의 그림은 그래서 사실주의의 흔적이 짙게 묻어나지만, 한편으로 그는 자신이 그리기로 결정한 이미지들에 대해서 장소와 연결되는 감정과 생각을 결합해 새로운 상상지대를 만들어낸다. 그 영향 때문에 배경의 세부 요소가 모호하게 뭉개지거나 빛과 그림자로 둘러싸인 채 본래의 형상을 잃어버릴 때가 많다.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 전시 전경. 송상호기자

호퍼의 그림 속 사람들은 대개 뒷모습이거나 무표정에 가까운 얼굴로 공간을 차지한다. 상당수 그림에서 그의 눈에 들어온 일상의 공간이 그림이 자아내는 분위기를 우선 매만지고 있지만 사람들 역시 그의 그림을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다.

‘푸른 저녁’은 시간대를 특정할 수 없는 모호한 기운이 맴돌고 있다. 사람들의 얼굴에 드리운 그림자로도, 사물이 만드는 그림자로도 지금이 어스름한 저녁인지 자정이 지난 시점인지도 알 수 없다. 이곳 카페를 찾은 사람들은 서로 대화나 교감이 전혀 없다. 생기를 잃어버린 사람들은 우울한 색채보다 더 짙은 적막감을 만든다. 파리에 있던 호퍼가 뉴욕으로 돌아온 뒤 그 당시의 생활을 떠올리면서 만들어낸 그림이라는 점에서, 어디까지 호퍼의 상상이고 어디까지 실제 카페 속 풍경인지 감상자는 확인할 수 없다는 점 역시 그림의 모호한 정서를 극대화한다.

이승아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는 “에드워드 호퍼는 20세기 초 현대인이 마주한 정서를 예리하게 포착해 화폭에 담아내 현재까지도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며 “이번 걸작전이 팬데믹 이후 고립과 단절, 소외가 만연한 오늘날에 필요한 전시로서, 에드워드 호퍼에 대한 이해를 넓힐 뿐 아니라 고단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시공을 뛰어넘는 위안과 공감을 선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전시는 8월20일까지.

송상호 기자 ssho@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