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3년 '빚더미' 앉은 2030…이자 폭탄 '공포' [조미현의 Fin코노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3년간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층은 20·30대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4분기와 비교하면 3년 새 차주 수는 17.3%, 대출 잔액은 17.7% 각각 증가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0·30세대가 대부분인 '30대 이하'의 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코로나팬데믹 3년간 1인당 평균 대출액도 30대 이하에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3년간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층은 20·30대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대출은 3년 새 30% 가까이 증가했는데요. 금리가 높은 2금융권 대출도 1인당 평균 대출액이 500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고금리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청년층의 빚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30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국내 은행권의 가계대출 차주(대출자) 수는 1490만명입니다. 전체 대출 잔액은 902조2000억원에 이릅니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4분기와 비교하면 3년 새 차주 수는 17.3%, 대출 잔액은 17.7% 각각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인 비은행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468조5000억원에서 509조1000조원으로, 8.7% 늘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0·30세대가 대부분인 '30대 이하'의 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30대 이하 대출 잔액은 지난해 4분기 514조5000억원이었는데요. 은행권이 354조8000억원, 2금융권이 159조700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3년 전인 2019년보다 27.4% 증가한 수치입니다.
다른 세대와 비교해도 30대 이하 대출 증가율이 눈에 띄었습니다. 대출 잔액이 가장 많은 세대인 40대는 이 기간 478조4000억원에서 522조6000억원으로 9.2% 늘었습니다. 50대는 2019년(451조3000억원) 대비 2.3% 늘어난 461조60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60대 이상은 288조6000억원에서 362조1000억원으로 25.5% 늘어났습니다.
코로나팬데믹 3년간 1인당 평균 대출액도 30대 이하에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금융권인 은행권에서 30대 이하 1인당 평균 대출액은 3년 전보다 18.4% 증가한 7081만원이었습니다. 40대는 10.4% 늘어난 1억357만원, 50대는 3.5% 증가한 9082만원으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60대 이상은 2.1% 늘어난 7726만원으로 조사됐습니다.
30대 이하는 금리가 높은 2금융권에서도 대출을 늘렸습니다. 지난 2019년 4분기에는 2금융권 1인당 평균 대출액인 4101만원이었는데, 3년 사이 32% 뛴 5414만원을 기록했습니다. 40대는 18.1% 증가한 6767만원, 50대는 4.7% 늘어난 6723만원, 60대 이상은 3% 증가한 7180만원으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력이 취약한 청년층이 고금리가 이어지고 경기 둔화가 본격화되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30대 이하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작년 4분기 현재 0.5%로, 2020년 4분기 이후 줄곧 0.4%를 유지하다가 0.1%포인트 높아졌습니다. 40대(0.6%), 50대(0.6%), 60대 이상(0.7%) 등과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이지만, 연체율이 상승세로 돌아선 데 주목해야 합니다.
한은 역시 지난해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금리 인상 포함)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 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양 의원은 "코로나 사태를 거치면서 경제적 기반이 약한 청년층의 대출이 너무 많이 늘었다"며 "높은 금리와 물가 속에서 이들의 이자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연체가 늘어나면 소비까지 줄어 금융은 물론 경제 전반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만큼 미리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서진이 왜 거기서 나와?…尹 대통령 "어떻게 오셨냐"
- "비밀로 해달라"…스페인 식당 '미스터리' 예약자 알고 보니
- "여기서 커피 한잔할까?" 2030 북적…요즘 '핫'한 여행지
- "27평서 셋이 살아요"…하숙집 전전하는 공무원들 [관가 포커스]
- "신혼집 거실서 '3대3 소개팅' 대박"…MZ세대 몰린다 [방준식의 N잡 시대]
- 신동엽, AV배우 만났다가…'동물농장' 이어 '놀토'까지 하차 요구
- 서세원 유해 열흘 만에 고국으로…"피 토하는 심정으로 현지 화장"
- 쉰 목소리에 검사했다가 '깜짝'…이혜영 "2주간 말 못 해" [건강!톡]
- '백상' 미리보기, '더글로리' 송혜교 오고 '재벌집' 송중기 제외
- '코인 유튜버' 박호두, 성매매 의혹에 "난 피해자" 반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