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3년간 20·30대 빚 가장 많이 늘었다…대출 30% 급증
“청년층 이자 부담에 소비까지 위축”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렸던 3년 동안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20~30대 젊은 세대로 나타났다.
저금리 시대 부동산, 주식 등에 투자하기 위한 ‘빚투’(빚내서 투자)·'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아 대출)이 유행하면서 이들의 대출은 3년 새 30% 가까이 불어났다. 은행과 2금융권에서 각 대출자 한 명당 평균 7000만원, 5400만원을 빌린 것으로 조사됐다.
연체율도 서서히 높아지는 추세여서 고금리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면 청년층의 고통이 갈수록 심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자상환 부담이 가중되고 연체까지 늘면서 소비가 위축되면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도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30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국내 은행권의 가계대출 차주(대출자) 수는 모두 1490만명이었다.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902조2000억원에 달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약 100만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직전인 2019년 4분기(1270만명·766조8천만원)와 비교하면 대출자 수, 잔액이 3년 새 각 17.3%, 17.7%씩 늘었다.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은행금융기관(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 등)의 가계대출 잔액도 2019년 4분기 468조5000억원에서 지난해 4분기 509조1000억원으로 8.7% 증가했다.
가계대출자를 연령대로 살펴보면, 20·30세대가 대부분인 ‘30대 이하’ 계층의 대출 급증세가 두드러졌다.
30대 이하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4분기 현재 은행권과 2금융권을 합해 모두 514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에 은행 대출 잔액이 354조8000억원, 2금융권이 159조7000억원이다.
이는 3년 전인 2019년 4분기 404조원(은행 278조1000억원+2금융권 125조9000억원)보다 27.4% 늘어난 것이다.
30대 이하의 대출 증가율은 60대 이상(25.5%), 40대(9.2%), 50대(2.3%) 등 나머지 모든 연령층보다 높았다. 3년간 대출 증가액 역시 30대 이하가 110조5000억원으로 1위였다.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대출잔액/차주 수)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도 20·30대였다.
은행권에서 30대 이하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2019년 4분기 5980만6000원에서 지난해 4분기 7081만8000원으로 18.4% 증가했다. 이어 40대(10.4%), 50대(3.5%), 60대 이상(2.1%) 순이었다.
2금융권에서도 30대 이하는 평균 50413만6000원의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4분기(4101만원)와 비교해 32% 불어났다.
증가율은 40대(18.1%), 50대(4.7%), 60대 이상(3.0%)보다 월등히 높았다.
20~30대 청년층과 저소득층 등 취약 차주의 연체율도 조금씩 오르고 있어, 우리 경제의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부상할 위험이 커졌다.
은행·2금융권을 통틀어 30대 이하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기준 0.5%인데, 2020년 4분기 이후 줄곧 0.4%를 유지하다가 0.1%포인트 높아졌다.
40대(0.6%), 50대(0.6%), 60대 이상(0.7%)의 연체율도 지난해 말을 기점으로 일제히 상승했다.
중소득 대출자(소득 30∼70%)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이미 1.0%로 높아졌고, 저소득자(0.9%)도 1%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 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양경숙 의원은 “코로나 사태를 거치면서 경제적 기반이 약한 청년층의 대출이 너무 많이 늘었다”며 “높은 금리와 물가 속에서 이들의 이자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연체가 늘어나면 소비까지 줄어 금융은 물론 경제 전반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만큼 미리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터리 열폭주 막을 열쇠, 부부 교수 손에 달렸다
- 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공개… 韓 ‘보라매’와 맞붙는다
- “교류 원한다면 수영복 준비”… 미국서 열풍인 사우나 네트워킹
- [세종풍향계] “파견 온 공무원은 점퍼 안 줘요”…부처칸막이 없애겠다면서 외부인 취급한 산
- [증시한담] 증권가가 전하는 후일담... “백종원 대표, 그래도 다르긴 합디다”
-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주간코인시황] 美 가상자산 패권 선점… 이더리움 기대되는 이유
- [당신의 생각은] 교통혼잡 1위 롯데월드타워 가는 길 ‘10차로→8차로’ 축소 논란
- 중국이 가져온 1.935㎏ 토양 샘플, 달의 비밀을 밝히다
- “GTX 못지 않은 효과”… 철도개통 수혜보는 구리·남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