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명의 일본인이 ‘5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까닭은?
‘6·25 전쟁의 성인’ 카폰 미국 군종 신부는 ‘5월의 6·25 전쟁 영웅’ 선정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일본인으로 대한민국 독립을 위해 헌신하고 대한민국을 사랑한 독립유공자, 가네코 후미코, 후세 다쓰지 선생을 올해 5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일본 요코하마 출신인 후미코 선생은 흑도회(黑濤會·일본에서 한국인들이 조직한 사회주의, 무정부주의운동 단체)에서 한국 독립을 위해 의열 활동을 한 박열(1989년 대통령장) 선생 배우자다. 박열과 함께 흑도회 기관지인 ‘흑도’를 창간하고 노동자 후원과 친일파를 응징하는 등 항일운동을 펼쳤다. 1923년 9월 1일 도쿄 일대에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선생은 일제의 요주의 인물인 박열과 함께 보호검속 명목으로 연행돼 수감됐다.
조사과정에서 박열의 폭탄구입 계획이 드러나자, 검찰은 두사람에게 ‘대역사건(천황 또는 국가의 전복을 기도하며 벌이는 대규모 반역사건)’ 혐의를 씌워 폭발물 취체(取締)법 위반으로 기소했다. 재판과정에서 후미코 선생은 일본 정부에 목숨을 구걸하기보다는 일제의 만행을 고발하는 투쟁을 벌였다. 1926년 2월 26일 도쿄 대심원 법정 공판에서 한복 치마저고리를 입고 이름은 ‘박문자’라고 밝힌 선생은, 의연한 태도로 박열과 함께 사형 선고를 요구했으며 사형 판결 즉시 만세를 외치기도 했다.
일본 검찰은 10일 만에 두 사람을 사형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시키는 은사(恩赦·사면)를 재판부에 신청했고, 곧 사면장이 발행됐으나, 선생은 일본 정부의 기만 술책에 저항하며 사면장을 형무소장 앞에서 찢어버렸다. 후미코 선생은 1926년 7월 23일 옥중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 교도소 측은 선생의 시신을 서둘러 인근 들판에 가매장했고 흑우회(黑友會· 일본내 한국인 조직 무정부주의운동 단체) 동지들이 유해를 수습해 변호사인 후세 다쓰지 선생에게 맡겼으며 다쓰지 선생은 훗날 박열의 고향인 경북 문경으로 유해를 운구해 팔령산에 묻었다.
1879년 일본 오사카군 출생의 변호사인 후세 다쓰지 선생은 1919년 2·8독립선언으로 체포된 최팔용, 백관수 등 9명에 대해 ‘출판법 위반사건’에서 변호를 맡으며 조선 독립의 정당성을 옹호했다. 1923년 8월, 한국을 방문해 ‘인간생활의 개조운동과 조선민족의 사명’이란 주제의 강연회를 가진 선생은 귀국 후 관동대지진으로 대규모 한국인 학살이 발생하자 사건을 조사해 학살 책임이 일본 정부에 있음을 밝히려 했으나 일본 당국의 방해로 조사결과를 발표할 수 없었다.
선생은 후미코 선생과 박열의 변론을 맡았다. 일본 천황제를 부정하고 식민통치를 철저히 비판하는 ‘일본 재판 역사상 유례가 없는’ 사건의 두 주인공에 대한 목숨을 건 변호였다. 이후 조선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을 지속적으로 변호한 선생은 1932년 법정 모독으로 변호사 자격을 박탈당하고 1933년에는 신문지법, 우편법 위반으로 금고 3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일제 패망 후 다시 변호사로 활동한 선생은 새로운 평화헌법 보급과 재일조선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투쟁에 매진하다 1953년 서거했다. 장례식에는 수많은 한국인들이 장의위원으로 참여해 선생의 명복을 빌었다. 정부는 후미코 선생은 2018년 건국훈장 애국장, 다쓰지 선생에게는 2004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추서했다.
한편 보훈처는 “6·25전쟁 당시 포로로 잡혀 적의 포로수용소에서 적군과 아군 할 것 없이 전우들을 간호하고 음식을 가져다주며 인류애를 실천, ‘6·25전쟁의 성인(聖人)’으로 불린 에밀 조세프 카폰 미국 군종 신부를 올해 ‘5월의 6·25 전쟁 영웅’에 선정했다”고 밝혔다.
1916년 미국 캔자스에서 태어난 에밀 카폰 신부는 6·25전쟁이 발발한 지 채 한 달이 안 된 1950년 7월, 군종 신부로 파병돼 활동했다. 그가 속한 부대인 제1기병사단 제8기병연대가 평안북도 운산까지 진격했지만, 중공군에게 고립돼 후퇴하자 자발적으로 잔류해 부상자들을 수습했다. 그 후 몇 차례나 탈출 기회가 있었지만 부상자 수습을 이유로 거절, 결국 1950년 11월 중공군에 의해 전쟁 포로로 잡혀 평안북도 벽동 포로수용소에 수감됐다.
카폰 신부는 포로수용소에서도 적군과 아군을 가리지 않고 부상자들을 간호하는 것은 물론, 야간에 목숨을 걸고 포로수용소를 돌아다니며 음식을 찾아 나눠주는 등 전우들을 위해 신앙과 인류애를 실천했다. 험난한 전쟁 포로 생활 중에서도 포로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며 죽음의 절망 속에서 희망의 불씨를 살리는 등 헌신적으로 포로들을 돌보던 카폰 신부는 오랜 수감 생활과 부상, 혹독한 추위 등으로 인해 1951년 5월 23일 포로수용소에서 생을 달리했다.
미국 정부는 카폰 신부의 공적을 기려 2013년 미국 최고 무공훈장인 ‘명예훈장(Medal of Honor)을, 대한민국 정부는 2021년 대한민국 최고 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을 추서했다.
정충신 선임기자·이해완 기자 csjung@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지지 ‘개딸’, 박광온 신임 원내대표 당선에 “朴 지지자들 실명 공개하라”
- 이더리움 폭등에 커진 박탈감…수사에서 드러난 강남 납치살인 사건 범행동기
- 김여정 “바이든, 늙은이의 망언”“윤석열은 못난 인간”
- ‘해리 포터’ 아빠 됐다…래드클리프 커플, 유모차 ‘산책’
- “김정은처럼 변해가는 몸, 되돌리는 비결은…”[이용권 기자의 Health 이용권]
- 日 기시다 총리, 5월 7~8일 한국 온다...윤석열 대통령과 회담
- 尹 영어연설 “발음·표현력·유머까지…한국어보다 낫다”…43분 연설에 57번 박수갈채
- 홍준표, “전광훈, 급기야 대통령실 물고 들어가…연결 고리 못 끊으면 당도 아냐”
- “일본AV? 신동엽 하차해”…동물농장 시청자 화났다
- 백상예술대상에 ‘우영우’ 주연 박은빈·영화 ‘헤어질 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