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바이든 환대받은 尹대통령…외교정책 두고 韓 양극화"

송진원 2023. 4. 30. 09: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5박 7일간의 미국 국빈 방문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의 환대를 받고 귀국길에 올랐지만, 한국에서는 이와 다른 분위기에 직면할 것이라고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29일(현지시간) 전망했다.

그러나 '워싱턴 선언'으로 한국이 실질적으로 얻는 이득이 적은 반면 '독자 핵개발' 주장에는 쐐기가 박혔다며 윤석열 정부가 '소탐대실'했다고 주장하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고 NYT는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본국선 다른 분위기 직면"…한미 정상회담 결과 관련 엇갈린 평가 소개
악수하는 한미 정상 2023년 4월 26일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한미 정상 소인수 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송진원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5박 7일간의 미국 국빈 방문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의 환대를 받고 귀국길에 올랐지만, 한국에서는 이와 다른 분위기에 직면할 것이라고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29일(현지시간) 전망했다.

NYT는 미일과 보다 긴밀하게 보조를 맞추고 있는 윤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그의 나라를 양극화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NYT는 특히 윤석열 정부가 이번 방미의 최대 성과물로 여기는 '워싱턴 선언'을 둘러싸고 엇갈린 평가가 나온다며 한국 내 북한·외교 전문가들의 반응을 소개했다.

'한국형 확장억제' 방안을 담은 '워싱턴 선언'은 한미 양국이 '핵 협의그룹(NCG)'을 설립해 미국의 확장억제 계획을 공유·논의하고 전략핵잠수함(SSBN) 등 미국의 전략 자산을 정례적으로 한반도에 전개하되, 한국은 자체 핵무기 개발을 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전성훈 전 통일연구원장은 NYT에 "역사는 윤석열 정부를 한국 정부 최초로 북핵을 시급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대응책을 마련한 정부로 기억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두연 미국 신안보센터(CNAS) 연구원 역시 "한국이 그동안 워싱턴과 논의할 수 없었던 핵 억제력에 관해 처음으로 논의할 수 있게 됐다"며 '워싱턴 선언'은 한국으로선 "큰 승리"라고 말했다.

그러나 '워싱턴 선언'으로 한국이 실질적으로 얻는 이득이 적은 반면 '독자 핵개발' 주장에는 쐐기가 박혔다며 윤석열 정부가 '소탐대실'했다고 주장하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고 NYT는 지적했다.

윤 대통령 열창에 환호하는 바이든 대통령 2023년 4월 26일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열린 국빈만찬 특별공연에서 1970년대 빌보드 히트곡 '아메리칸 파이'를 즉석에서 열창하자 조 바이든 대통령과 참석자들이 환호하고 있다. [공동취재. 연합뉴스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가 "'워싱턴 선언'이 실질적이고 환상적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실제로는 빈 껍데기"라며 "미국의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고 지적한 것처럼 비판의 목소리가 작지 않다고 전한 것이다.

오히려 '워싱턴 선언'에 따른 미국 전략핵잠수함의 한반도 전개가 동북아시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고, 북한에 또 다른 핵무기 확장 구실을 제공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면서 이 때문에 '워싱턴 선언'을 '확장 억제'가 아닌 '위기의 확장'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고 NYT는 소개했다.

이 매체는 작년 한국에서 진행된 한 여론조사에서 미국이 한반도 유사시 핵 억지력을 행사하지 않을 것으로 본 응답이 49%에 이르렀다면서, 이처럼 회의적 시각이 강한 상황에서 미국의 확장억제 약속은 '미사여구'로 받아들여질 것이란 이병철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의 진단을 전하기도 했다.

특히, 일자리 감소로 고군분투 중인 한국의 젊은 세대에게 이번 '워싱턴 선언'의 성과는 미흡하게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고 NYT는 지적했다.

최근 몇 달간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 과학법으로 한국 기업이 불이익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쏟아졌는데도 이번 한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선 "긴밀한 협의를 계속하겠다"는 언급만 나왔을 뿐이라고 짚은 것이다.

이와 관련해 존 딜러리 연세대 교수는 "한국 젊은이들은 (윤 대통령이 부른) '아메리칸 파이' 가사는 몰라도 인플레이션 감축법은 안다"고 꼬집었다고 NYT는 덧붙였다.

sa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