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기 2030 빚 가장 많이 늘었다… 제2금융권 등 30% 급증

김영주 기자 2023. 4. 30. 09: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금융권 대출 32% 급증…은행서 평균 7082만원·2금융권 5414만원 빌려
연체율도 오르는 추세…한은 가계대출자 연령·소득별 분석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3년 동안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20·30대 젊은 세대로 확인됐다. 이들의 대출은 3년 새 30% 가까이 불었고, 은행과 2금융권에서 각 대출자 한 명당 평균 7000만원, 5400만원가량을 빌린 상태였다. 연체율도 서서히 높아지는 추세로, 앞으로 고금리 상황이 장기간 지속 되면 경제적 기반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청년층의 고통이 심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 코로나 3년간 전체 가계대출 은행 18%↑·2금융권 9%↑

30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국내 은행권의 가계대출 차주(대출자) 수는 모두 1490만명,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902조2000억원에 이르렀다. 한은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약 100만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4분기(1270만명·766조8000만원)와 비교하면 대출자 수, 잔액이 3년 새 각 17.3%, 17.7% 늘었다.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은행금융기관(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 등)의 가계대출 잔액도 같은 기간 8.7%(2019년 4분기 468조5000억원→2022년 4분기 509조1000억원) 증가했다.

0013912318tableImage1 출처:양경숙 의원실

◇ 2금융권 대출, 30대 이하 32%↑…저소득자도 17% 늘어

가계대출자를 연령대로 나눠보면, 20·30세대가 대부분인 ‘30대 이하’ 계층의 대출 급증세가 두드러졌다.

30대 이하의 대출 잔액은 작년 4분기 현재 은행권과 2금융권을 합해 모두 514조5000억원(은행 354조8000억원+2금융권 159조7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3년 전인 2019년 4분기 404조원(은행 278조1천억원+2금융권 125조9천억원)보다 27.4%나 늘어난 것이다. 30대 이하의 대출 증가율은 60대 이상(25.5%·288조6000억원→362조1000억원), 40대(9.2%·478조4000억원→522조6000억원), 50대(2.3%·451조3000억원→461조6000억원) 등 나머지 모든 연령층보다 높았다.

3년간 대출 증가액 역시 30대 이하(110조5000억원)가 1위였다.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대출잔액/차주 수)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도 20·30대였다. 우선 은행권에서 30대 이하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2019년 4분기 5980만6000원에서 3년 뒤 2022년 4분기 7천81만8000원으로 18.4% 증가했다. 40대(10.4%·9379만3000원→1억356만7000원), 50대(3.5%·8천773만9000원→9081만9000원), 60대 이상(2.1%·7565만원→7725만6000원)이 뒤를 이었다.

2금융권에서도 30대 이하는 평균 5413만6000원의 대출을 받고 있었는데, 2019년 4분기(4101만원)보다 32%나 뛰었다. 40대(18.1%·5천707만원→6천737만2천원), 50대(4.7%·6천424만1천원→6천723만1천원), 60대 이상(3.0%·6천968만5천원→7천179만5천원)보다 월등히 높은 증가율이다. 소득별로는 은행권이나 2금융권에서 모두 고소득자(소득 상위 30%)의 대출이 저소득자(하위 30%)보다 많이 늘었다.

은행에서 3년 새 고소득자 대출이 15.6%(2019년 4분기 653조7000억원→2022년 4분기 756조원) 불어나는 동안 저소득자의 대출은 9.6%(98조1000억원→107조5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2금융권에서는 고소득자(17.9%·360조7000억원→425조2000억원)와 저소득자(17.0%·82조7000억원→96조8000억원)의 대출 잔액 증가율이 비슷했다. 그만큼 신용도가 낮아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저소득자들이 코로나19 3년간 2금융권에서 많은 돈을 끌어 썼다는 의미다.

◇ 작년말 연체율도 일제히 상승…"청년층 신용 위험 우려"

20·30대 청년층과 저소득층 등 취약 차주의 연체율도 조금씩 오르면서, 경제·금융의 잠재적 불안 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은행·2금융권을 통틀어 30대 이하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작년 4분기 현재 0.5%인데, 2020년 4분기 이후 줄곧 0.4%를 유지하다가 0.1%포인트(p) 높아졌다. 40대(0.6%), 50대(0.6%), 60대 이상(0.7%)의 연체율도 작년 말을 기점으로 일제히 상승했다. 중소득 대출자(소득 30∼70%)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이미 1.0%를 찍었고, 저소득자(0.9%)도 1%에 바짝 다가섰다.

특히 한은은 지난해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금리 인상 포함)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 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며 20·30대를 지목해 경고한 바 있다. 양경숙 의원은 "코로나 사태를 거치면서 경제적 기반이 약한 청년층의 대출이 너무 많이 늘었다"며 "높은 금리와 물가 속에서 이들의 이자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연체가 늘어나면 소비까지 줄어 금융은 물론 경제 전반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만큼 미리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주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