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관리 주관연구기관 선정…"안전하고 깨끗한 도시 만든다"
국토부, 과기부 등 4개 부처 주관 실증사업 과제 수주
5G, V2X 기술 기반 관제시스템 개발
4만㎞이상 서비스 실증 목표
[더팩트|최문정 기자] LG유플러스가 정부의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자율주행을 통해 더욱 깨끗하고 안전한 도시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는 구상이다. LG유플러스는 도시 환경 정비 사업의 기획, 설계, 실증을 맡아 5G 통신 기술과 자율주행 차량관제 기반기술을 결합해 유의미한 성과를 낸다는 목표다.
LG유플러스는 30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의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연구개발' 과제의 주관연구기관으로 협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은 오는 2027년까지 융합형 레벨 4+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 완성을 목표로 하는 연구개발 사업으로,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경찰청 등 4개 부처가 주관한다. 융합형 레벨 4+는 도심로, 전용도로, 특정노선 등에서 인프라 융합 (차량-클라우드-도로교통)과 사회 융합 기술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에서 주행 가능한 자율주행차를 뜻한다.
LG유플러스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모빌리티 서비스, 실시간 수요대응 대중교통 모빌리티 서비스 등 5개 과제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에는 24시간 주행 가능한 자율주행 차량을 통해 도로 노면청소, 미세먼지·공기 정화, 전염병 방역·소독 등을 수행하는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과제를 추가 수주했다. 2027년까지 약 5년 간 주관연구기관으로서 관련 기술 연구와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LG유플러스가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 랩장은 지난 28일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자율주행 과제의 기획, 설계, 마지막 실증까지의 최종적인 목적은 상용화"라며 "이번 과제는 차량, 통제, 관제 등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는데, 여기에 LG유플러스가 확보한 기술이 모두 포함돼 있어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돼 주관기업으로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도시환경 관리 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사고를 막고, 디젤차 운행으로 인한 2차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도시기능 서비스 체계의 선진화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나아가 주관연구기관으로서 해당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된 자율주행 서비스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사업의 기반을 확보하며 자율주행 시장을 선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실증을 위해 GS건설(노면상태 평가 기술과 테스트베드 제공), 리텍(도시환경관리 특장차 개발), 라이드플럭스(도로노면청소 차량 플랫폼 기술), 에이스랩(미세먼지·방역 서비스 차량 플랫폼 기술), 스페이스인사이트(돌발상황 검지 기술), 쿠오핀(차량 원격제어 기술), 아주대학교(서비스 평가 기술), 카이스트(배차·경로 최적화 기술) 등 8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상엽 LG유플러스 최고기술책임자(전무)는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과제의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돼 의미가 크다"며 "특히 도시환경관리는 주로 심야시간에 시행돼 많은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으로, 본 연구개발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실증사업 과제 수행을 위해 △5G, 차량-사물 통신(V2X) 기반의 차량 데이터· 수집·처리·전송 기술 △도시환경관리 서비스에 최적화된 정밀지도 기반 3D 관제시스템 △사용자 모바일 앱을 연구·개발해 리빙랩 기반으로 4만㎞이상의 서비스 실증에 나설 예정이다. 리빙랩은 도시 규모의 자율주행 서비스, 도로인프라, 자율주행 모빌리티센터 등의 실증 공간을 의미한다.
자율주행 차량 관제 시스템은 '웨이브(WAVE, 고속으로 이동 중인 차량간 또는 차량과 도로변 장치간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고속 무선 통신 표준)', C-V2X를 지원하는 노변 기지국(RSU)과 통신을 지원하는 5G 기지국과의 연동을 통해 운영된다. 이는 자율주행 차량에 부착된 5G, WAVE와 C-V2X를 통합한 차량용 단말기(OBU)와 연동돼 관제 시스템과 실시간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관제 시스템은 5G 통신과 노변 기지국을 통해 도로상황과 카메라, 라이다, 레이더 등에서 수집되는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차량의 이상상태와 돌발상황을 감지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차량용 단말기와 노변 기지국간, 차량용 단말기와 5G 기지국간 실시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5G, 차량과 사물 간의 수집·처리·전송 기술이 중요한 이유다.
LG유플러스는 △차량과 도로상황 영상과 3D 정밀지도 기반 모니터링 △차량 이상상태와 주변 도로 돌발상황 감지와 판단 △돌발상황 발생 시 5G 기반 저지연 영상전송 기술을 활용해 즉시 대응 가능한 원격제어 △도로상황에 따른 배차·경로·배회 최적화 △주행이력 분석 등이 가능한 실시간 통합 서비스 관제 솔루션을 개발해 자율주행 기반 서비스 관리의 편의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모바일 앱을 개발해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가령, 집 근처 도로에 쓰레기 등이 떨어져 있어 더럽거나, 미세먼지 수치가 높을 경우, 시민들이 직접 전용 앱을 통해 상태를 알리면 자율주행 청소차량이 직접 해당 장소로 이동해 오염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LG유플러스는 5G 통신에 통신 보안 확보를 위해 양자내성암호(PQC) 알고리즘을 적용해 차량 보안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0월 차량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 환경에서 차세대 암호체계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LG전자, ICTK과 협업 중이다.
LG유플러스는 2024년까지 서비스 기술 설계개발을 마무리하고, 2027년까지 리빙랩 도시 기반으로 서비스 운영을 실증하며 성능을 검증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실증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고객 대상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능을 보강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 4월 20일 자율주행 기술을 실증할 도시인 '리빙랩'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차세대 자율주행 모빌리티 센터 운영 플랫폼 개발, 메타버스 기반 가상시험환경 구축, 도시환경관리와 긴급차량 통행지원 등 공공 서비스 과제를 동시에 추진한다. 자율주행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과제를 수주한 LG유플러스는 향후 리빙랩으로 선정된 도시에서 서비스 실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munn09@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