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먹는 고래’ 아세요? 야생동물 살려야 지구를 지킨대요 [사이언스라운지]

이새봄 기자(lee.saebom@mk.co.kr) 2023. 4. 30. 07: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 등 기후 변화로 야생동물들이 멸종이 될 위기에 처했거나 일부 종이 이미 멸종이 되는 등 생물다양성 유지에 비상이 걸린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최근 야생동물을 보호하면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전 세계의 야생동물을 보호할 경우 천연 탄소 포집 능력이 강화돼 기후 변화를 늦출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미국 커네티컷 주에 위치한 예일대 환경대학원의 인구· 사회 생태학 교수인 오스왈드 슈미츠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은 바다 물고기와 고래, 상어, 회색 늑대, 영양, 해달, 사향소, 아프리카 숲 코끼리, 미국 들소 등 9종의 야생 동물을 조사했다. 이 결과 조사대상인 개체군을 보호하거나 복원할 경우 연간 64억 100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추가로 포집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파리협정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양을 넘어서는 수치다. 파리협정은 지난 2015년 체결된 국제적 기후변화 대응 약속으로, 지구 온도 상승을 2°C 이하로 유지하며 가능한 1.5°C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2018년 기준으로 파리 협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30억톤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슈미츠 교수에 따르면 야생동물은 채집과 영양분 침착, 교란, 유기 탄소 침착, 종자 분산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과정을 통해 생태계에서 탄소 순환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때문에 동물의 종이 멸종되면 생태계가 탄소 흡수원에서 탄소원으로 전환될 수 있다. 탄소 흡수원이란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는 시스템이고, 반대로 탄소원은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동물이 멸종되면 지구 온난화 문제를 완화하는데 중요한 ‘탄소 흡수원’이 탄소를 배출하는 ‘탄소원’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경고다.

일례로 숲에서 특정 종의 멸종이 일어나면 숲에서 흡수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던 나무들이 사라질 수 있고, 대신에 탄소를 방출하는 새로운 생물군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생태계가 변하면서 이전에 흡수하던 탄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

지난 50년 동안 세계 야생동물 개체 수는 거의 70% 감소했다. 이 연구는 기후 위기와 생물 다양성 위기를 해결하는 것이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동물 개체군 복원이 기후변화를 늦추는 ‘해결책’중 하나로 거론되어야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개체 보호를 통해 탄소 포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동물 종은 아프리카 버팔로, 흰코뿔소, 퓨마, 딩고, 영장류, 코뿔새류, 과일박쥐, 항구물범,회색물범, 붉은바다거북,푸른거북 등이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기후 변화’에 게재됐다.

과학계에서는 이처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멸종 위기 동물을 구하기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 일례로 개체수 급감 위기에 처한 코알라를 구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배변 이식과 유전체 분석에 나샀다.코알라는 호주에만 번식하는 유칼립투스 잎을 먹고 사는데,서식지 파괴로 유칼립투스 잎이 부족해지면서 문제가 발생했다.과학자들은 코알라 대변을 관찰해 유칼리툽스 품종과 코알라의 장내미생물 구성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코알라들이 이를 전혀 흡수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감염에 대한 개체수 감소 문제도 큰 것으로 파악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코알라 지놈 컨소시엄’을 구성한 뒤 코알라 유전체 분석에 들어갔다.

간단한 식단 변화가 멸종 위기종을 돕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도 나왔다.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동물원 연구진은 준위협종으로 분류된 코뿔소 식단을 바꿔 생식능력이 떨어지는 동물원 코뿔소 임신에 성공한 바 있다. 연구진은 동물원에 있는 백색코뿔소와 외뿔코뿔소 차이를 관찰했다. 외뿔코뿔소는 동물원에서 살아도 잘 번식했지만 백색코뿔소 번식 능력은 현저하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백색코뿔소 대변에는 암컷 생식호르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인 ‘피토에스트로겐’이 포함돼 있었다. 연구진은 “동물원 코뿔소는 동일한 먹이를 먹는 만큼 이들의 장내 미생물이 피토에스트로겐을 서로 다르게 분해한다는 생각에 백색코뿔소 먹이를 피토에스트로겐 함유량이 적은 식단으로 바꿨다”며 “그 결과 2년 뒤 임신하지 못했던 두 마리 백색코뿔소가 건강한 새끼를 낳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