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숨은 건졌지만 살길 막막"... 잿더미 위에 남겨진 사람들 [하상윤의 멈칫]
남은 건 잿더미로 변한 집터만... "살아갈 일이 막막"
화마가 할퀸 마을의 봄은 적막했다. 그림 같던 집은 폐가가 됐고, 주변 솔숲에선 산비둘기 울음소리만 드문드문 들려왔다. “운 좋게 살아남아서 감사하긴 한데, 다시 살아가려고 보니 앞이 막막하네요.” 지난 21일 전영란(60)씨가 한숨을 지으며 말했다. 강원 강릉시 저동에 위치한 그의 집은 지난 11일 발생한 산불로 모두 탔다.
마당 귀퉁이엔 백골로 남은 강아지 사체가 그대로 놓여 있었다. 산불은 태어난 지 1년도 채 안 된 진돗개 '진순이'와, ‘진돌이’의 운명을 갈랐다. 진순이는 타 죽었고, 진돌이는 살았지만 입양 보내졌다. 전씨는 스마트폰을 열어 지난해 모친의 90번째 생일날 대가족이 마당에 모여 찍은 단체 사진을 보여줬다. 사진 속에선 서른 명이 넘는 가족들이 번듯한 기와집 앞에서 함께 웃고 있었다. 전씨는 이 집을 ‘천국 같은 곳’이었다고 회상하며 잿더미로 변한 기와집의 잔해를 바라보았다. 이제는 사라져 버린 삶터, 그리고 전씨처럼 그 위에 남은 사람들을 한 프레임에 기록했다.
지난 19일 김춘옥(77)씨는 이재민 임시 대피소 한 구석에서 홀로 엎드려 있었다. 그는 50여 년 살던 서울 노원구 상계동 아파트를 떠나 지난해 4월 이곳으로 이사 왔다. 그리곤 25년 된 주택을 사들여 노후를 보낼 공간으로 고쳤다. 처음 맞는 봄, 텃밭을 꾸리고 앵두며 무화과, 감, 석류 등 과실수를 둘레에 심었다. 이번 산불로 완파한 집은 그들에게 전 재산이나 다름없었다.
매매가 6억7,000만 원에 리모델링 비용으로 약 1억7,000만 원이 더 들었다. 김씨는 “금세 불이 다 꺼지고 저녁쯤엔 당연히 다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면서, “그저 입은 옷에 전화만 딸랑 챙겨서 집을 나왔다”고 했다. “물려받은 재산 하나 없이 구멍가게 운영하면서 토큰 팔아 과자 팔아 모은 돈으로 산 집이다. 추억이 담긴 앨범도, 옷도, 패물도, 그릇도 모두 다 탔다. 울어도 소용없는 걸 알지만 모든 걸 잃었다고 생각하면 너무 허무해서 눈물이 자꾸 차오른다.” 김씨의 눈가에 또다시 눈물이 고였다. 좋아했던 공간에 가서 서 달라는 요청에 전씨는 남편 최석규(78)씨와 함께 주방이 있던 자리로 향했다. 고개를 늘어뜨린 그들 뒤로 검게 그을린 숲이 보였다.
재난 예측과 대응 시스템만 제대로 굴러갔더라면, 주민들은 아쉬움을 토로했다. 지난 20일 저동 펜션 단지에서 만난 김혜란(47)씨는 "‘그날’의 상황은 ‘각자도생’에 가까웠다"고 했다. 그는 “주택이 높은 밀도로 몰려 있는 마을이 불바다로 변하는 30~40분 동안 현장에 소방차 한 대 나타나지 않았다”면서, “119에 전화를 걸었더니 ‘바쁘니까 끊어라’는 반응이 돌아왔다“고 했다. 고3 아이 교복도, 교과서도, 아무것도 못 챙기고 맨몸으로 도망치듯 집을 빠져나오는 동안에도 ‘어디로 대피하라’는 재난 안내 문자 한 통 오지 않았다. 이번 화재로 목조 건물 세 동과 트럭, 중장비가 잿더미로 변했고, 집을 빠져나오지 못한 고양이는 타 죽고 말았다.
“민가 주변에 이토록 소나무가 많은데, 이곳에 15년 사는 동안 산불 위험 기간에도 어떤 예방 활동하는 걸 본 적이 없다. 시스템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이 안일한데, 그사이 기후위기는 빠르게 악화했다.” 지난 21일 마을 어귀에서 만난 조인숙(62)씨는 격앙돼 있었다. 조씨는 마을 입구에 설치돼 있는 소화전을 가리키며 “저렇게 떨렁 설치만 해놓고 어떤 매뉴얼도 교육도 없었다”면서 “아침이라 그나마 다행이지, 모두가 잠든 새벽이었다면 우린 모두 죽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연을 인간이 거스를 순 없지만, 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는 게 국가가 할 일이라 생각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강릉시의 1차 피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1명이 숨지고 26명이 부상을 입었다. 축구장(0.714㏊) 530개에 달하는 면적이 불길에 휩싸이면서 경포 일대 펜션과 민가 등 건축물 266동, 저온저장고 등 농업시설 122동이 전소 또는 반소됐다. 217가구, 489명의 주민이 삶터를 잃고 임시 주거시설에 머물고 있다.
편집자주
인디언에겐 말을 타고 달리다 '멈칫' 말을 세우고 내려 뒤를 돌아보는 오래된 의식이 있었습니다. 발걸음이 느린 영혼을 기다리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하상윤의 멈칫]은 치열한 속보 경쟁 속에서 생략되거나 소외된 것들을 잠시 되돌아보는 멈춤의 시간입니다.
강릉= 하상윤 기자 jonyyu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검찰, '민주당 돈 봉투' 송영길 전격 압수수색..."보고·지시 여부 확인하겠다"
- [단독] 임창정, 눈물로 밝힌 '조조파티' 전말..."송년파티로 알고 아이도 데려갔다"
- 김수찬, 알고 보니 이정재 관상?..."도화기 많아" ('살림남')
- 방심 쉬운 봄철 식중독, 지사제 먹고 굶어라? "NO, 고기 먹어야"
- [단독] 배달업 호황에 "오토바이 먼저 줄게" 205명 울린 대리점주 징역 4년
- “장비 알박기로 10억원씩 떼 가”···다단계 임금착취 판치는 하청의 현장
- 일본의 '고3'들은 고된 입시 경쟁에 시달리지 않는다
- MIT석학 만난 윤 대통령 "혁신적 과학기술 협력"
- "직원은 또다른 고객" 직원들 친목까지 챙기는 이유
- '백상예술대상' 박은빈 대상 호명에 오열…뭉클함 남긴 수상 소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