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4명 "난 하류층...집값 안정화로 중산층 늘려야"
"재산 상속 없이 개인 노력만으로 상류층이 될 가능성이요? 글쎄, 전 중산층이라도 속했으면 해요."
국내외 경기침체 국면 속, 계층이동(상승)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이들이 비교적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스스로 경제적 지위를 낮게 평가하며, 미래 한국 사회의 경제적 양극화를 우려하는 동시에 '집값 안정화' 등 정책으로 중산층 비율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 국민 10명 중 4명 "나는 하류층"
일반 국민 10명 중 4명은 스스로를 '하류층'에 해당한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지난달 7일부터 10일까지 전국 만 19~59세 성인 1천명을 상대로 '중산층 이미지 관련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자신을 '하류층'(417명·41.7%)이라고 평가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중산층'(320명·32%), '잘 모름'(259명·25.9%) 등 순이었다. '상류층'의 경우 전체 응답자 중 4명(0.4%)으로 가장 적었다.
중산층을 결정하는 기준에 대해 묻자, '부동산을 포함한 총 자산 규모'(84.5%)란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현금 보유량'(59.3%)과 '직업'(50.5%)이 뒤를 이었다.
이 밖에 '사회적 인맥 양·수준'(12.5%), '타인에 대한 태도'(11.7%), '도덕·사회 규범에 대한 태도'(11.2%), '문화적 취향'(7.5%), '정치·사회문제에 대한 태도'(5.8%) 등의 답도 있었다.
◆ 노력만으론 그리기 어려운 '장밋빛 인생'?
절반을 넘는 응답자는 경제적 지위 상승을 희망하고 있지만, 현재 수준에서 '계층 상승'은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응답자 10명 중 8명 정도(79.6%)는 한국사회가 '돈 있으면 살기 좋은 나라'로 인식하고 있었고, 절반을 넘는 55.2%는 '중산층의 삶을 희망한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한국사회 내 계층 이동 가능성 관련 평가' 조사(중복 응답)에서 ▲앞으로 현재보다 나은 상태로의 계층 이동은 불가능하다는 답이 절반 이상인 51.3%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이어 ▲한 번 가난해지면 평생 가난하게 살아야 한다(51%) ▲내 자녀는 중산층 이상으로 올라가기 어려울 것 같다(39.1%)가 뒤를 이었다.
반면 ▲우리나라는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는 나라다(27.5%) ▲내 자녀 세대에는 계층 상승이 자유로울 것 같다(14.4%) 답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계층 이동이 어렵고,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할 수 없는 한국사회 모습은 사회구조적 문제란 인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10명 중 2명(22.5%)은 '한국사회는 중산층이 많은 나라'라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58.3%는 중산층이 늘어나지 않는 것에 대해 '한국사회가 그만큼 공정하지 않다는 뜻'이라는 견해였다. 반대로 계층 이동의 문제는 사회적 구도가 아닌 개인의 노력에 달려 있다는 시각은 26.8%에 그쳤다.
10명 중 6명 정도(58.3%)는 우리사회의 중산층은 앞으로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응답했다.
◆ 응답자 80.5% "우리나라 빈부격차, 더욱 심해질 것"... 48% "외국으로 이민 의향도..."
이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다수는 한국 사회의 미래를 어둡게 전망하고 있었다.
응답자 10명 중 8명(80.5%)은 앞으로 우리사회 빈부격차가 더 커질 것이라는 것에 공감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양극화된 사회에서 힘든 사람만 더 힘들어진다'(72.1%), '한국사회에서 더 이상 장밋빛 비전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52.7%)는 회의적 시각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특히 미래 한국사회에 대해 암울하게 느끼는 정도는 ▲20대 56.4% ▲30대 55.6% 등 저연령층일수록 더 높았다. ▲40대 49.6% ▲50대 49.2%로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층이 낮았다.
이를 반영하듯 전체 조사 대상 10명 중 3명(31.7%)만이 다시 태어나면 우리나라에서 태어나고 싶다고 답했다.
10명 중 5명 꼴(48%)은 기회가 생긴다면 언제든지 외국으로 이민갈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가운데 응답자 68%는 '중산층이 전체적으로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를 위한 국가 차원 방안으로 '집값 안정화'(57.2%)란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지속적인 성장 정책'(53.3%), '복지 정책 확대'(51.9%) 등이 꼽혔다.
황아현 기자 1cor1031@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어린이만의 에너지로 현대미술 감상...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탱탱볼’
- ‘이재명·김문기 사진 첫 공개’…이기인 “내 사진에 대한 거짓말이 유죄”
- 원아 머리 킥보드로 때린 유치원 교사, 다른 원생 11명도 폭행
- 기후변화, 환경재난 ‘부메랑’… 인간·자연 공존 ‘실천교육’ [디지털과 생태를 잇는 인천교
- ‘이재명 진짜 위기는 위증교사’…한동훈 “야당 희대의 무리수 동원할 것”
- 수원 현대건설, 7연승 파죽지세…흥국생명 맹추격
- 이재명, "결코 죽지 않는다⋯나라 주인, 윤석열·김건희로 바뀌어"
- 용인서 택시 문 부수고 기사 때린 50대 입건
- 가을의 끝자락 '만추의 낙엽'[포토뉴스]
- 과천시, 네이버 라인프렌즈(IPX) 유치로 미래 신도시 가치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