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돌아온 '독서당계회도' 보물 지정

유선준 2023. 4. 28. 1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재청은 조선 중종대 계회 그림 '독서당계회도'를 비롯해 고려시대 불상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전적문화재 '수능엄경의해 권9~15', '이항복 해서 천자문'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고 28일 밝혔다.

'독서당계회도'는 조선 중종대인 1516년부터 1530년까지 독서당에서 사가독서를 했던 현직 관료들의 모임을 기념해 그린 작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고궁박물관이 공개한 해외 환수 문화재 '독서당계회도' /사진 제공=국립고궁박물관

[파이낸셜뉴스] 문화재청은 조선 중종대 계회 그림 '독서당계회도'를 비롯해 고려시대 불상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전적문화재 '수능엄경의해 권9~15', '이항복 해서 천자문'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고 28일 밝혔다.

'독서당계회도'는 조선 중종대인 1516년부터 1530년까지 독서당에서 사가독서를 했던 현직 관료들의 모임을 기념해 그린 작품이다.

하단 좌목(座目)에 언급된 인물들의 관직을 조선왕조실록 등 각종 문집에서 확인된 결과, 1531년경 모임이 열린 것으로 여겨짐에 따라 이 그림도 당시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족자 형태로 꾸며진 이 작품은 화면 맨 위에 '독서당계회도(讀書堂契會圖)'라는 제목이 한자 대표 서체인 전서체로 적혀 있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14세기 고려 후기에 제작된 보살상이다.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통견을 입었으며 대좌 위에 완전히 책상다리를 하고 앉은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오른손은 들고 왼손은 내려 각각 검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인 설법인을 하고 있다.

'수능엄경의해 권9~15'는 인도 승려 반라밀제가 중국 당나라로 전래해 한역한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10권을 중국 남송의 함휘가 30권으로 엮은 주해서 중 권9~15에 해당하는 경전이다.

해당 경전의 간행시기, 간행처, 간행자 등을 적은 각 권말의 간기(刊記)를 통해 조선 세조 8년(1462) 간경도감에서 경판을 만들어 간행된 사실을 알 수 있다. 해당 경판은 현재 전하지 않고, 이 경판으로 인출한 인경본(印經本)도 많지 않다.

'이항복 해서 천자문'은 1607년 이항복(556~1618)이 손자 이시중(1602∼1657)의 교육을 위해 직접 써서 내려준 천자문이다. 총 126면 분량으로, 본문 125면과 발문 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 면지 이면에 2개의 백문방인(白文方印)인 '청헌(聽軒)'과 '월성세가(月城世家)'가 찍혀 있다. 청헌은 이항복의 6대 종손 이경일(1734∼1820)의 호다.

본문은 한 면에 2행으로 행마다 4자씩 8자를 125면에 1000자를 썼는데 서체는 해서다. 각 글자 아래에는 한글로 음과 뜻을 달아 놓았는데 이것은 후대에 서사한 것으로 보인다.

끝에 '정미년(1607년) 이른 여름(음력 4월) 손자 이시중에게 써 준다. 오십 노인이 땀을 뿌리고 고생을 참으며 썼으니 골짜기에 던져서 이 뜻을 저버리지 마라(丁未首夏, 書與孫兒時中. 五十老人, 揮汗忍苦, 毋擲牝以孤是意)'라고 이항복이 행초서로 쓴 발문이 있다.

이를 통해 제작자와 제작시기를 명확히 알 수 있으며, 이항복이 후손 교육에 쏟은 관심과 애정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이항복 해서 천자문'은 한 글자가 약 8㎝로 가장 크고, 시기도 가장 이른 육필 천자문으로 서예사적으로 중요한 자료"라며 "한자 밑의 한글 음과 뜻은 이 시기 한글 변천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국어사적 자료라 평가된다"고 밝혔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