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신용 비율 1%p 오르면 4∼5년 뒤 성장률 최대 0.28%p↓”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제규모(국내총생산)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높아질수록 중장기적으로 해당 국가 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진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특히 한국처럼 가계신용 비율이 80%를 넘는 경우, 지나친 가계신용이 중장기뿐 아니라 단기 성장률에도 타격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GDP 대비 가계신용비율(3년 누적)이 1%포인트(p) 오르면 4∼5년 시차를 두고 GDP 성장률(3년 누적)은 0.25∼0.28%p 떨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규모(국내총생산)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높아질수록 중장기적으로 해당 국가 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진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특히 한국처럼 가계신용 비율이 80%를 넘는 경우, 지나친 가계신용이 중장기뿐 아니라 단기 성장률에도 타격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은 ‘가계신용 누증 리스크 분석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1960∼2020년 39개 국가 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가계부채 증가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경기침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했습니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GDP 대비 가계신용비율(3년 누적)이 1%포인트(p) 오르면 4∼5년 시차를 두고 GDP 성장률(3년 누적)은 0.25∼0.28%p 떨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가계신용이 늘어나면 3∼5년 시차를 두고 ‘경기 침체’(연간 GDP 성장률 마이너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커진다고 봤습니다.
특히, 가계신용 비율이 80%를 넘는 경우에는 중장기뿐 아니라 단기 시계에서도 성장률 하락이 관찰되고, 경기 침체 발생 확률은 더 높아졌습니다.
참고로 한국의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작년 4분기를 기준으로 105.1%에 이릅니다.
권도근 한은 통화신용연구팀 차장은 “이번 분석 결과로 미뤄, 우리나라와 같이 가계신용 비율이 이미 100%를 초과한 상황에서는 가계부채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 효과가 더 클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신용 비율이 80%에 근접하도록 가계부채를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은행 제공]
서영민 기자 (seo0177@gmail.com)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백악관 “사실상 핵공유 아냐”…여당 “확인 후 답변”
- [단독] 1억 5천만 원짜리 ‘바나나’ 관람객이 ‘꿀꺽’
- ‘인증샷’ 찍고 대형 자연석 절도 일당 ‘실형’
- 윤 대통령 “BTS보다 제가 먼저”…박수 부른 장면들
- [단독] 선 채로 기절까지…‘지옥철’ 김골라, 지금까지 안전사고 151건 발생
- “저는 38년간 간호사였습니다”…당론 맞서 찬성표 던진 최연숙의 ‘눈물’
- [영상] 중국계 조롱했다 된서리 맞은 이탈리아 여대생들
- YS맨 김덕룡 “문민정부 30년은 민주주의 30년”, ‘YS가 현 대통령이라면 이렇게 했을 것’
- 또 ‘간병 살인’…암 투병 아내 간병하다가
- 손흥민, 맨유 상대로 리그 9호골…토트넘 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