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가계부채 증가하면 장·단기 경기침체 가능성···GDP 80%로 낮춰야”

유희곤 기자 2023. 4. 28. 13: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계부채가 계속 증가하면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특히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0%가 넘으면 단기 경제성장률도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GDP의 100%를 넘은 국내 가계부채를 점진적으로 줄이지 않으면 경제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은 28일 ‘가계신용 누증 리스크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국을 포함한 39개 국가의 1960~2020년 자료를 바탕으로 가계부채 누증이 GDP 성장률과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를 분석했다.

보고서를 보면 가계신용(대출) 증가가 단기(1~3년)에는 경기 회복 효과를 낼 수 있으나 중기적으로는 성장률 둔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연간 실질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인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신용비율 상승 후 3년까지는 경기 회복 지원 효과가 있었으나 이후에는 경기부양 효과가 없어졌다.

GDP 대비 가계신용 규모인 가계신용비율이 3년 누적으로 1%포인트 상승하면 4~5년의 시차를 두고 3년 누적 GDP 성장률은 0.25~0.28%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가계신용비율이 80%를 넘으면 경기침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장기뿐 아니라 단기적으로도 성장률 하락과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 커졌다.

권도근 한은 통화신용연구팀 차장은 “국내는 이미 가계신용비율이 100%를 초과한 만큼 가계부채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에 유의해야 한다”면서 “가계신용비율이 80%에 근접할 수 있도록 가계부채를 줄여나가되 급속한 디레버리징(부채 감소)은 금융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그 속도는 완만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