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3천억 투자하겠다는데...“그게 자랑거리냐” 비아냥하는 정치권 [아이티라떼]

이재철 기자(humming@mk.co.kr) 2023. 4. 28. 12: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4년 간 3조3000억 투자계획
기존 투자액 대비 공격적 기조로 확인
기업 투자 의지 꺾는 정치권 무리한 비판
K콘텐츠 성장과 세계 도약에 ‘백해무익’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대미 투자유치 성과와 관련해 넷플릭스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공동 최고경영자(CEO) 등 넷플릭스 핵심 경영진이 윤 대통령을 접견한 자리에서 향후 K콘텐츠에 3조3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면서 상당한 투지 유치 성과라는 긍정론과 새로울 게 없다는 부정론이 교차하고 있습니다.

4년 간 3조3000억원 투자 계획을 나눠 보면 한 해 8000억원 가량을 투자하겠다는 것인데, 이미 넷플릭스가 이에 준하는 K콘텐츠 투자를 하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물음표가 커지면서 부정론이 확산한 것이죠. 콘텐츠 업계는 물론 정치권(야당)에서도 방미 성과 부풀리기 의혹을 제기합니다.

공교롭게도 넷플릭스가 매년 정확한 K콘텐츠 투자 내역을 공개하고 있지 않고 있어 과연 미래 4년 투자 계획이 과거에 비해 이른바 ‘통 큰’ 수준인 것인지 설왕설래가 여전합니다.

미래 투자 계획을 밝히고도 비판적 여론이 나오자 급기야 넷플릭스는 28일 별도 입장자료를 내고 “최근 일부 보도된 2022년 콘텐츠 투자액 외부 추정치는 오류”라고 반박에 나섰습니다. 미래 투자액이 새로울 게 없다는 식의 일부 매체 산술 방식에 대해 “작품 당 단가를 동일하게 예상해 연간 공개 작품 수를 단순히 곱한 산술의 결과다. 사실과 다르다”며 진화에 나선 것이죠.

아쉬운 점은 넷플릭스가 한국 매체 보도에 대해 오류가 있음을 주장하면서도 여전히 연도별 투자 내역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이에 대해 넷플릭스는 “제작비는 제작된 연도와 공개되는 연도가 다를 수 있어 연 단위로 발표하지 않는다”고 불가 이유를 설명합니다.

그런데 과거 넷플릭스 경영진이 한국 시장을 언급한 발언들을 추적해보면 지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넷플릭스의 K콘텐츠 투자 규모가 어느 정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넷플릭스의 향후 4년 간 K콘텐츠 투자 계획은 대통령실과 넷플릭스가 밝힌 것처럼 과거보다 한층 대담하고 공격적인 투자 기조임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먼저 2016~2020년까지 넷플릭스는 K콘텐츠에 ‘7700억원’을 누적 투자했습니다. 이는 2021년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CEO가 육성으로 공개한 수치입니다. 한 해 평균 1400억원 규모입니다.

이어 2021년 투자액은 ‘5000억원 이상’으로 이는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콘텐츠총괄 부사장의 육성(2022년 1월 기자간담회)으로 확인됩니다.

2022년 투자액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28일 내놓은 별도 입장자료에서 향후 4년 간 투자액에 대해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한 2016년 이후 현재까지 투자한 누적 투자액의 두 배에 달한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2016~2021년 투자액(1조2700억원)과 2016~2022년 투자액(3조3000억원의 절반인 1조6500억원)의 차액인 3800억원 가량이 2022년 넷플릭스의 K콘텐츠 투자액으로 추산됩니다.

이는 일부 매체가 작품 당 제작 단가와 연간 공개 작품 수를 곱해 단순 추정한 한 해 7000억~8000억원대 투자액과 상당한 괴리가 있습니다.

향후 4년 간 연 평균 8000억원의 투자가 기대되는 넷플릭스의 투자 계획은 이처럼 과거 누적 투자액과 비교해 분명한 공격적 기조를 담고 있습니다.

양질의 콘텐츠 제작을 위한 유동성 확보,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 등 선순환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특정 기업의 대한국 투자 의지를 폄훼할 이유는 전무해 보입니다.

그럼에도 최근 야권에서는 “이게 과연 자랑거리냐”는 비아냥이 나오는 실정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의 한 거물급 최고위원은 심지어 “OTT 시장에서 한국은 부동의 콘텐츠 강국이고, 우리가 투자유치를 안 해도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돈을 벌려면 투자를 할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정치인들의 이런 후진적 시장 인식 하에서 과연 한국 콘텐츠 시장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담보될 수 있을지 씁쓸할 따름입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