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다한 복부 지방,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 높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복부 혈관 주위 지방이 과다 축적되고 지방 질(quality)이 떨어지면 고혈압ㆍ고혈당ㆍ이상지질혈증ㆍ비만 등 대사증후군 위험과 관련이 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복부 혈관 주위 지방은 이소성 지방(ectopic fat) 중 하나로 기존 연구들은 이미 심혈관 질환이 있거나 위험이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경우가 많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복부 혈관 주위 지방이 과다 축적되고 지방 질(quality)이 떨어지면 고혈압ㆍ고혈당ㆍ이상지질혈증ㆍ비만 등 대사증후군 위험과 관련이 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복부 혈관 주위 지방은 이소성 지방(ectopic fat) 중 하나로 기존 연구들은 이미 심혈관 질환이 있거나 위험이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경우가 많았다.
권순효ㆍ이해경(신장내과)ㆍ이은지(영상의학과) 순천향대 서울병원 교수 연구팀은 복부ㆍ간ㆍ근육 등에 쌓이는 이소성 지방이 대사증후군 위험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순천향대 서울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중 복부 및 골반 컴퓨터단층촬영(CT)을 시행한 505명을 분석했다.
이어 혈관ㆍ신경ㆍ림프절이 있는 콩팥굴(renal sinus) 지방 조직과 복부 대동맥 주위 지방 조직 양을 측정하고, 지방 조직 질을 평가하기 위해 지방 감쇠 계수(fat attenuation index)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이 없는 그룹 △1~2개 있는 그룹 △3개 이상 있는 그룹(대사증후군)으로 나눴다.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이 많을수록 혈관 주위 지방 조직이 양은 증가하고 지방 감쇠 계수는 감소했다.
이런 관련성은 체질량지수(BMI)를 포함한 여러 가지 교란 변수를 고려한 뒤에도 유지됐다.
반면 지방 감쇠 계수 감소는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이 1~2개인 그룹에서만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팀은 복부 내 혈관 주위 지방 조직 과다는 대사증후군 발병과 관련 있고, 지방 조직 질 변화는 경미한 대사 이상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해경 교수는 “이번 연구로 복부 혈관 주위 지방 조직을 CT 영상으로 평가해 심혈관 질환 위험이 비교적 낮은 환자에서도 잠재적으로 유용한 바이오마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며 “나아가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영상 자료를 이용해 대사 질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의 중요한 단서를 제시했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유럽영양대사학회 공식 저널인 ‘임상영양(Clinical Nutrition)’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의 '팝송 열창'에 환호한 바이든... 국빈 만찬의 하이라이트
- 자녀 친구를 여고생 때부터 4년간 성폭행한 승합차 기사
- '나는 솔로' 정숙 "50대 남자도 20대 원해" 푸념
- 목격자 행세...'음주 뺑소니'에 30대 가장이 죽었다
- 故 서세원, 캄보디아서 화장 왜?…서동주 측 "장례절차 논의 중"
- [단독] 성매매만 2500회… 피해자 남편, '적반하장' 이혼소송 제기
- [영상] 10년 뒤, 당신을 살릴 의사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 임창정, 주가조작 의혹에 "무지했다...좋은 재테크라 믿어"
- 총 맞고도 카메라 놓지 않은 일본 기자…유품 15년 만에 가족 품으로
- "직원이 문 잠그고 퇴근" 고수동굴에 갇힌 부부 30분 만에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