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의 시대, 노후 준비의 방향은?

2023. 4. 27. 1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화양연화(花樣年華). 인생에서 가장 아름답고 행복한 시간.

미국 시카고대학 노화 연구자인 버니스 뉴가튼(Bernice Neugarten)교수는 은퇴 이후에도 활발한 사회 활동과 여가, 소비를 즐기며 능동적으로 생활하는 50대~60대 중심의 세대를 일컬어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라고 지칭했다. 이들은 자신의 외모와 건강 관리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디지털 기기와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활용하며, 은퇴 이후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의미를 찾고 여가 및 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런 액티브 시니어가 되려면, 건강도 중요하지만 노년의 삶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경제력을 빼놓을 수 없다. 과연 우리는 은퇴 후의 삶의 질을 결정할 노후 준비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가?

한국은 2025년에 65세 이상의 고령자 비중이 전체 인구의 20%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는 정부의 최근 발표가 있었다. 초고령사회가 되기까지 미국이 15년, 일본이 10년이 걸렸다면 한국은 7년밖에 걸리지 않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

이웃 일본의 경우 이미 10여년 전부터 ‘노후파산(老後破産)’이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데, 중산층으로 살아왔던 노인들조차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후에 빈곤층이 되어 200만명 이상의 독거노인들이 그야말로 입에 풀칠만 하는 상태로 전락하여 비참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2016년 기준, 일본 직장 은퇴자의 월 연금은 우리 돈으로 230만원 가량인데, 일본 물가 기준으로 부부가 최소한의 품위를 유지하는 생활을 하더라도 270만원이 소요되어 1년에만 480만원의 적자가 나고, 이는 65세에 퇴직하여 100세까지 산다고 가정하면 35년간 약 1억 7천만원이 모자르다는 뜻이다. 더구나 이마저도 퇴직연금이 나오는 회사에서 퇴직한 노인의 경우이고, 자영업을 했다거나, 농어업에 종사했다면 국가에서 나오는 연금에만 의존해야 하는데, 이 금액이 많아야 한달에 우리돈 65만원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한국 은퇴자들도 살인적인 물가로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일정한 소득이 없는 은퇴자들은 직장에 있을때부터 아껴서 준비해온 개인 연금이나 국민연금에 의존해 생활을 하는데, 가스비, 의료비, 각종 세금, 관리비 등 고정 지출이 계속 늘다보니 은퇴자들도 파산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고, 실제로 법원에 파산을 신청한 60대 이상 고령자가 2018년 2,058명, 2019년 2,373명, 2020년에 2,715명을 기록하여 최대치를 매년 경신하고 있고 전체 파산 신청자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도 40%에 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파산 신청한 10명중 4명이 노인이라는 뜻이다.  

평균수명은 길어져 자녀 결혼 비용 지원은 물론, 60대가 되어서도 본인 부모의 의료비 지출이 발생하고, 본인도 병원에 다녀야 하는 말 그대로 ‘수입은 없는데 지출은 더 늘어나는’ 상황이 된 것이다. 노인 일자리 정책도 정부 주도로 진행되고 있으나, 저임금의 공공형 또는 단순노무직 중심이고 최근과 같은 코로나 상황이나 해외발 경제위기가 덮치면 바로 정리될 수 밖에 없는 일자리들뿐이다. 

과연 어떻게 노후를 맞이해야 할까? 위에서 말한 ‘액티브 시니어’만큼은 바라지도 않는다 하더라도 최소한 삶의 품위는 지키면서 사는 것을 바라는게 보통 사람들의 심정 아닐까?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중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노인은 57%, 준비하고 있지 않는 노인은 43%로 나타났다. 노후 준비 방법은 ‘국민연금’이 4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예‧적금’ 17%, ‘직역연금’ 11% 순인데, 지난 10년간 국민연금은 16%p 증가하였으나, 예·적금은 10% 감소했다.

그리고 작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은퇴후 적정 생활비로 부부 기준 314만원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하지만, 2021년 55~79세 인구중 공적.사적 연금을 수령한 사람은 절반인 49.4%에 불과하고 월평균 수령액도 69만원 정도여서 필요하다고 조사된 314만원의 44%밖에 되지 않는다.

65세 이상 노인중 중위소득 50% 이하를 지칭하는 상대적 빈곤율은 39.3%로 OECD 회원국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평균 소득 대비 연금 수령액 비율을 나타내는 국민연금 소득대체율도 낮게 나타나고 있다.

20대는 가상자산과 주식, 30~40대는 부동산에만 열심인 현재의 자산형성 욕구 역시 차후에 스스로가 고령층이 되었을 때 본인들의 발목을 잡는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2021년 금융투자협회 조사 결과 가계자산 중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은 65%에 육박하고 고령층 자산의 80%가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는 기형적인 구조를 보이고 있어 주택가격의 급격한 변동, 부동산세의 변화, 금리 변동 등이 닥칠 경우 ‘노후파산’은 내 일이 될 수 있다.

한국은 선진국 부럽지 않은 3층 연금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그 덩치에 비해 적은 공적 연금 금액으로 실제 노후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작년 마이너스 80조원이라는 국민연금 제도 도입 이후 최대 운용 손실을 기록했다는 뉴스, 그로 인해 2055년 기금 소진이 될 전망이라는 정부의 발표를 보면 내가 지금 열심히 납부하고 있는 국민연금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공적 연금에 대한 불신이 갈수록 커질 뿐이다. 

어디로 가야할지 혼란스러운 ‘불확실성의 시대’로 진입하는 우리는 과연 노후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각 연령별, 직군별 노후준비 안내에 대한 연속 기사가 제공됩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사)한국능률협회 제공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