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9년만에 600억 적자전망…하반기 안정될 것"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손실흡수능력 충분·하반기 안정화"
(서울=뉴스1) 한유주 기자 = 금리상승기 예금 고객 확보를 위한 출혈 경쟁 여파와 충당금 추가 적립의 영향으로 저축은행 업권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이 9년 만에 적자 전환할 전망이다.
시장의 불안이 커질 것을 우려해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27일 "이자비용 증가와 충당금 추가적립으로 적자가 날 것으로 보이지만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규모"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조달비용이 상당히 안정되고 충당금도 충분히 쌓아놨기에 하반기부터는 실적이 호전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금리 출혈경쟁과 충당금 적립영향…하반기 안정될 것"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올 1분기(1~3월) 79개 전체 저축은행 순손실은 약 600억원 안팎으로 잠정 추산된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해결을 거쳐 2014년 흑자 전환에 성공한 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냈다.
자산 규모도 감소했다. 1분기 저축은행 총자산은 135조100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3조5000억원(2.5%) 감소했다.
비교적 다행인 건 이번 실적 악화가 구조적인 경영 문제보다는 고금리와 경기악화 등 외부 요인에 따른 리스크 관리 강화 과정에서 비롯됐다는 점이다.
지난 연말 레고랜드 사태가 촉발한 자금시장 경색으로 은행권, 비은행권 관계없이 수신확보를 위한 금리 경쟁에 뛰어들었다.
연초 1%대에 불과했던 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연말들어 4~5%대까지 올랐다. 은행과의 금리 격차를 벌리기 위해 저축은행들도 '울며 겨자먹기'로 예금금리를 올렸다. 지난 연말 최고금리가 연 6%에 달했던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3%대까지 떨어졌다가, 최근엔 4%대에 머물고 있다.
출혈경쟁의 여파는 가계대출을 활발히 취급한 대형사에 더 세게 다가왔다. 예금에서 자금 대부분을 조달하는 업계 특성상 대출을 늘릴수록 이자비용 상승 여파가 충당금 적립 책임 역시 무겁기 때문이다.
오 회장은 "1분기 이자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올랐다"며 "대형사들이 가계대출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취급했는데 그에 비례해 충당금을 많이 쌓게 되면서 적자가 난 것 같다"고 설명했다. 현재 79개 저축은행 중 적자가 예상되는 26개 저축은행이 대부분 지주계열·외국계 대형 저축은행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전성 지표 양호…촘촘한 규제로 PF도 안정적 관리"
저축은행에 돈을 맡긴 소비자들은 안심해도 되는 상황일까.
저축은행중앙회는 "1분기 영업실적 악화는 일시적·단기적 현상에 불과하다"며 "그간 적립된 이익 잉여금으로 이번 손실은 충분히 흡수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실리콘밸리(SVB) 파산 사태에서 보았듯 시장의 과도한 우려로 순식간에 대규모의 자금이 이탈하는 예외적인 상황만 없다면, 현재의 상황은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란 설명이다.
저축은행 업권의 1분기 건전성 지표는 당국의 권고치를 모두 크게 웃돌고 있다.
1분기 업권 전체 연체율은 5.1%로 전년말(3.4%)대비 상승했다. 중저신용자가 대다수인 업권 특성상 경기 악화 여파로 증가세를 보이지만, 저축은행 사태 이후 10%대를 유지하다 정상화 단계에 들어선 2016년 5.8%까지 떨어진 선례를 비교하면 우려할 수준은 아니란 설명이다.
업권 자기자본(BIS)비율도 13.6%로 금융당국 권고기준 11%를 상회한다. 증자 등 자기자본 증가로 전년말(13.15%) 대비 0.45%p 상승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상대적으로 BIS비율이 낮은 일부 저축은행들도 대부분 증자여력이 충분해 필요시 증자 등을 통해 건전성 제고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시장의 우려와 달리 유동성비율도 법정기준(100%)를 141.4%p 초과하는 241.4%로 안정적이다.
오 회장은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6년간 매년 1조원 이상의 이익을 내왔는데 배당을 20% 이상하지 않고 나머지 80% 이상을 사내유보했기 때문에 자기 자본도 안정적"이라며 "그간 적립된 이익잉여금으로 이번 손실은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PF안정적 관리…대부분 소규모·수도권·선순위 사업장"
금융권 전반으로 부실우려가 커지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역시 되레 '저축은행 사태' 이후 타 업권 대비 강화된 규제로 고위험 비중이 크지 않다는 설명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업권 전체 PF 사업장 1100여곳 중 94%가 선순위 채권이고, 77%가 수도권에 분포하고 있다. 지방 사업장의 후순위 채권자의 위험부담이 큰 상황을 고려하면 비교적 안정적인 상황이다.
오 회장은 "저축은행은 타업권과 달리 PF 사업자가 자기자본 20%를 가져와야 나머지를 빌려줄 수 있고 대출한도 역시 최대 120억까지 제한을 둬 규제가 타이트하다"며 "저축은행 사태를 경험하며 대부분 선순위 채권을 구성해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wh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성관계 안한지 몇년"…전현무, 결혼 관련 숏폼 알고리즘 들통
- 홍준표 "이재명에 징역 1년 때린 대단한 법관, 사법부 독립 지켜" 극찬
- 생후 30일 미모가 이정도…박수홍, 딸 전복이 안고 '행복'
- 서점서 쫓겨난 노숙자 부른 직원 "다 못 읽으셨죠? 선물"…20년 후 반전
- "제일 큰 존재"…'사혼' 박영규, 54세 나이차 막둥이 딸 최초 공개
- '이나은 옹호 사과' 곽튜브, 핼쑥해진 외모 자폭 "다른 이유 때문"
- 실종됐다는 5세 아동, 알고 보니 진돗개 숭배 사이비 단체 범행
- 배다해, ♥이장원과 결혼 3주년 자축 "지금처럼만 지내자 여보" [N샷]
- "로또 1등 당첨돼 15억 아파트 샀는데…아내·처형이 다 날렸다"
- "자수합니다"던 김나정, 실제 필로폰 양성 반응→불구속 입건(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