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전문의 경험 살려, 악보의 내면 꿰뚫어 봅니다"

장병호 2023. 4. 27. 05: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휘자는 무엇보다 분석적인 사고력이 있어야 합니다.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지휘를 할 수 있습니다."

다음달 샹젤리제 오케스트라와 함께 한국을 찾는 지휘자 필리프 헤레베허(76)는 최근 이데일리와 서면 인터뷰에서 정신의학과 음악의 관계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벨기에 출신의 헤레베허는 정신의학과 음악을 동시에 배운 이색적인 경력을 지닌 지휘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음악 대가' 지휘자 필리프 헤레베허
샹젤리제 오케스트라와 내달 내한공연
모차르트 '주피터'·베토벤 '영웅' 등 연주
"고난·시련 이겨낸 '인간의 승리'로 희망 전할 것"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지휘자는 무엇보다 분석적인 사고력이 있어야 합니다.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지휘를 할 수 있습니다.”

다음달 샹젤리제 오케스트라와 함께 한국을 찾는 지휘자 필리프 헤레베허(76)는 최근 이데일리와 서면 인터뷰에서 정신의학과 음악의 관계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음악가들은 보통 개방적이고 지적, 감정적으로 풍부하다”며 “음악원과 달리 대학교에서 감정이 아닌 사고(思考)하는 법을 배우기 때문에 (대학에서 정신의학을) 공부하길 잘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지휘자 필리프 헤레베허. (사진=크레디아)
벨기에 출신의 헤레베허는 정신의학과 음악을 동시에 배운 이색적인 경력을 지닌 지휘자다. 의사였던 아버지와 음악가였던 어머니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 의대생이던 1980년 고(古)음악 앙상블 ‘콜레기움 보칼레 겐트’를 창단하기도 했다. 정신과 의사가 된 뒤에도 음악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의사 일에는 흥미를 잃었지만, 대신 음악 활동으로 더 많은 주목을 받았다. 지금은 음악이 삶의 전부가 됐다.

정신과 의사의 경험이 지휘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헤레베허는 “의학과 음악은 어떤 식으로든 결합할 수 있다”며 “지휘자로서 오케스트라가 저마다 연주하도록 이끄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는 지휘자로서 오케스트라와 소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신경 쓰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조화입니다. 두 번째는 악보가 쓰인 그대로 연주하는 것이고요. 세 번째가 가장 중요한데요. 악보에 담긴 정신적인 의미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오케스트라가 합심해 악보의 내면을 연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휘자 필리프 헤레베허. (사진=크레디아)
헤레베허는 ‘고(古)음악의 대가’로 불린다. 그가 1991년 창단한 샹젤리제 오케스트라는 ‘시대악기’(곡이 탄생한 시대의 악기)로 연주하는 단체로 파리 샹젤리제 극장, 브뤼셀 보자르 궁을 중심으로 활동 중이다. 이들은 오는 5월 17일과 20일 각각 예술의전당 콘서트홀과 부천아트센터에서 내한공연을 갖는다. 헤레베허의 내한은 2019년 통영국제음악제 공연 이후 4년 만이며, 샹젤리제 오케스트라의 내한은 2017년 이후 6년 만이다.

고음악은 곡이 탄생한 시대의 악기와 연주법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헤레베허는 지금 시대에 고음악을 들어야 하는 이유를 명료성에서 찾았다. 그는 “시대악기로 연주하는 것은 음악을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며, 구시대적인 것이 아니다”라며 “고음악에서 중요한 것 또한 명료성에 집중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공연에선 모차르트 교향곡 41번 ‘주피터’, 베토벤 교향곡 3번 ‘영웅’을 연주한다. 헤레베허가 과거 한국 공연에서 만난 관객을 생각하며 선정한 프로그램이다. 헤레베허는 “‘주피터’와 ‘영웅’은 계몽주의 정신과 관련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둘 다 긍정과 희망의 정서를 담고 있다”며 “고난과 시련을 딛고 얻은 ‘인간의 승리’를 담아냈다는 점에서 지금 우리가 처한 상황과도 비슷하다”고 선곡 이유를 설명했다.

이번 공연으로 한국 관객과 나누고 싶은 것 또한 ‘희망’이다. 헤레베허는 “(두 곡은) 한국 관객에게 익숙한 희망과 이상향일 것이며, 특히 베토벤은 모차르트보다도 훨씬 더 이 두 가지 개념을 목표로 삼았다”며 “음악과 예술은 현실과 별개의 존재이지만, 동시에 현실에서도 강하게 작용한다”고 말했다.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