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봐달라는 외침은 가혹한 말들에 파인 치유하기 힘든 상처탓
임준철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2023. 4. 27. 03: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리 길리엄 감독의 '피셔 킹'(1993년)에서 패리(로빈 윌리엄스)는 충격적 사건을 겪은 후 자신이 잃어버린 성배를 찾아 나선 기사라는 환상에 빠져든다.
시인은 박지원의 안목을 믿고 자신의 글을 보내 평가를 부탁했지만 화려하고 세련됨만을 추구한 글이란 혹평을 받고 절망했다.
얼마 뒤 시인의 부고를 들은 박지원은 자신이 뱉은 말을 후회했다.
영화 속 잭도, 박지원도 자신의 말 한마디가 타인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가 될 줄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시를 영화로 읊다]〈57〉자화자찬의 이면
테리 길리엄 감독의 ‘피셔 킹’(1993년)에서 패리(로빈 윌리엄스)는 충격적 사건을 겪은 후 자신이 잃어버린 성배를 찾아 나선 기사라는 환상에 빠져든다. 연암 박지원(1737∼1805)과 동시대 인물인 이언진(1740∼1766)은 세상으로부터 외면당한 뒤 과대망상에 가까운 자화자찬을 남긴 바 있다.
전통사회에선 자화자찬을 꺼렸기 때문에 자신의 초상화를 대상으로 한 시도 흔치 않다. 쓰더라도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데 그칠 따름이다. 하지만 시인은 당나라의 천재 시인 이백과 뛰어난 능력에도 권신(權臣)에게 미움을 사 여러 차례 은거할 수밖에 없었던 이필, 그리고 전설상의 여덟 신선 중 한 사람인 이철괴를 호명하며 자신의 진면모가 이들을 합친 것과 같다고 큰소리친다. 심지어 다른 글에선 자신을 영원히 문형(文衡·대제학) 자리를 독점할 사람이라고 자화자찬하기까지 했다(‘畫像自題’). 중인 신분의 역관(譯官)이었던 시인은 일본에까지 문명을 떨친 바 있지만, 정작 조선에선 인정해주는 이가 드물었다.
영화 속 패리의 과대망상은 인기 DJ인 잭이 라디오 방송 중 무심코 던진 말에서 비롯한다. 잭은 자신으로 인해 사랑하는 이를 잃고 폐인이 된 패리의 모습에 죄책감을 느낀다. 박지원 역시 시인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시인은 박지원의 안목을 믿고 자신의 글을 보내 평가를 부탁했지만 화려하고 세련됨만을 추구한 글이란 혹평을 받고 절망했다. 얼마 뒤 시인의 부고를 들은 박지원은 자신이 뱉은 말을 후회했다.
영화 속 잭이 죄책감으로 패리를 돕기 위해 애썼던 것처럼, 박지원은 전기를 써서 요절한 시인을 추모했다(‘虞裳傳’). 시인의 전기에 수록된 시 중 한 수가 위 작품이다. 시는 자신의 초상화에 대한 글쓰기의 상례를 완전히 벗어나 있다. 시인은 그림에 표현된 자신의 외면보다 감추어진 내면의 가치를 봐달라고 외쳤다. 신분제의 질곡 속에서 온당하게 평가받지 못한 자신을 알아달라는 절박한 인정 투쟁이었다. 박지원은 때를 잘못 만난 시인의 말에 슬픔이 많다고 평가했다.
불교에선 말을 잘못해서 짓는 업(業·미래에 선악의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는 행위)을 구업(口業)이라고 한다. 영화 속 잭도, 박지원도 자신의 말 한마디가 타인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가 될 줄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얼마나 많은 ‘말의 죄’를 짓는가. 과장된 자화자찬의 이면에는 가혹한 말들로부터 받은 치유되기 어려운 상처가 있다.
영화 속 패리의 과대망상은 인기 DJ인 잭이 라디오 방송 중 무심코 던진 말에서 비롯한다. 잭은 자신으로 인해 사랑하는 이를 잃고 폐인이 된 패리의 모습에 죄책감을 느낀다. 박지원 역시 시인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시인은 박지원의 안목을 믿고 자신의 글을 보내 평가를 부탁했지만 화려하고 세련됨만을 추구한 글이란 혹평을 받고 절망했다. 얼마 뒤 시인의 부고를 들은 박지원은 자신이 뱉은 말을 후회했다.
영화 속 잭이 죄책감으로 패리를 돕기 위해 애썼던 것처럼, 박지원은 전기를 써서 요절한 시인을 추모했다(‘虞裳傳’). 시인의 전기에 수록된 시 중 한 수가 위 작품이다. 시는 자신의 초상화에 대한 글쓰기의 상례를 완전히 벗어나 있다. 시인은 그림에 표현된 자신의 외면보다 감추어진 내면의 가치를 봐달라고 외쳤다. 신분제의 질곡 속에서 온당하게 평가받지 못한 자신을 알아달라는 절박한 인정 투쟁이었다. 박지원은 때를 잘못 만난 시인의 말에 슬픔이 많다고 평가했다.
불교에선 말을 잘못해서 짓는 업(業·미래에 선악의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는 행위)을 구업(口業)이라고 한다. 영화 속 잭도, 박지원도 자신의 말 한마디가 타인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가 될 줄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얼마나 많은 ‘말의 죄’를 짓는가. 과장된 자화자찬의 이면에는 가혹한 말들로부터 받은 치유되기 어려운 상처가 있다.
임준철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尹 “한미동맹 미래 설계” 바이든 “민주주의 가치 공유”
- [김순덕 칼럼]송영길과 86좀비그룹, 이젠 제발 안녕이다
- 3㎞밖 北무인기 원샷 원킬…레이저 대공무기 개발 성공
- “막말은 이제 그만”… 폭스도, CNN도 간판 앵커 내쳤다[횡설수설/이정은]
- 시진핑·젤렌스키, 우크라 개전 이후 첫 통화
- ‘꼼수 탈당’ 민형배 복당에…비명계 “헌재 판결 무시, 부끄러움 몰라”
- 원화 ‘나 홀로 약세’… 수출엔 도움 안 되고 물가 부담만 커진다 [사설]
- 속 터지는 ‘숄칭’ vs 속 시원한 ‘유닝’[오늘과 내일/이철희]
- 전기요금 결정, 계속 이대로 정치에 휘둘리게 둘 수 없다[광화문에서/유재동]
- “자꾸 눈 비비는 아이 혹시?”…눈병 달고 온 ‘새 변이’ 15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