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바이든, 한국전 기념비 부부 동반 참배…'혈맹' 상징 행보

유영규 기자 2023. 4. 26. 10: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빈 방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저녁 워싱턴 DC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시설'(Korean War Veterans Memorial)을 조 바이든 대통령과 함께 찾았습니다.

알렌 페핀 관구사령관이 그 앞에서 루터 스토리 장병 유족을 안내하자 바이든 대통령이 먼저 손을 내밀어 유족과 악수했으며 이후 바이든 여사, 윤 대통령 순으로 악수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빈 방미 기간 중 바이든 대통령을 처음으로 대면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빈 방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저녁 워싱턴 DC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시설'(Korean War Veterans Memorial)을 조 바이든 대통령과 함께 찾았습니다.

참전 혈맹으로 맺어져 70주년을 맞이한 한미동맹의 강고함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를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날 일정에는 김건희 여사와 질 바이든 여사도 동행했습니다.

한미 정상 부부는 이날 한국전 기념시설로 나란히 함께 걸어 들어왔습니다.

이에 앞서 백악관에서 먼저 만나 환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검은색 정장에 회색 넥타이를 맸으며 김 여사는 검은색 바지 정장 차림이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남색 정장, 바이든 여사는 옅은 하늘색 투피스 차림이었습니다.

한미 정상 부부가 헌화대로 향하는 모습을 19명의 병사 동상이 지켜봤습니다.

한국전쟁 등에 참전했던 미군 장병들의 희생과 헌신의 모습을 19개의 동상으로 표현한 조형물입니다.

눈비를 막는 판초 차림의 이들이 한국의 논밭을 가로질러 순찰하는 모습이 연출돼 있습니다.

맨 앞에 있는 병사의 바닥에는 "우리나라는 자신들이 전혀 알지 못하는 나라와 만난 적도 없는 사람들을 지키자는 요청에 부응한 조국의 아들과 딸들에게 경의를 표한다"는 문구가 새겨져 있습니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헌화대에 도착한 다음, 나란히 고개를 숙이고 3초간 묵념했습니다.

김 여사와 바이든 여사도 함께 묵념했습니다.


한미 정상 부부는 이어 진혼곡이 연주되는 가운데 왼쪽 가슴에 손을 올려 추모했습니다.

그 옆에는 태극기와 성조기를 든 미군 의장대가 도열했습니다.

한미 정상은 이후 화환에 손을 얹는 것으로 헌화 일정을 마무리했습니다.

한미 정상 부부는 이어 화강암으로 만든 '추모의 벽'으로 다가가 찬찬히 둘러봤습니다.

'추모의 벽'에는 한국전쟁 전사자 4만 3천748명(미군 3만 6천574명·카투사 7천174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습니다.

알렌 페핀 관구사령관이 그 앞에서 루터 스토리 장병 유족을 안내하자 바이든 대통령이 먼저 손을 내밀어 유족과 악수했으며 이후 바이든 여사, 윤 대통령 순으로 악수했습니다.

김 여사도 바이든 대통령 권유에 따라 유족의 손을 잡고 인사를 건넸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빈 방미 기간 중 바이든 대통령을 처음으로 대면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캄보디아·인도네시아 순방 당시 바이든 대통령과 만난 이후 6개월 만입니다.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는 친교 일정을 통해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정상 간 친분을 다지겠다는 취지로도 보입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