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경기침체가 문제, 금리인상 끝이 보인다
하지만 상반기 이후에는 근원물가상승 둔화 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시중 유동성 축소가 수요 둔화로 반영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3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은행권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유동성 관리는 보수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은 대출을 통한 민간 수요 여건을 제약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미국 노동시장은 양호하나 금융기관의 대출 태도 강화에 따른 대출 증가세 둔화로 기업의 투자와 고용이 위축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압력도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 하반기에는 수요 부진에 따른 주거비 및 노동시장 내 인플레이션 둔화가 가시화될 것으로 보이며, 금융시장 참여자의 초점은 경기 방향성과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로 옮겨갈 가능성이 크다.
미국 노동시장 구인 줄고 실업수당 청구 늘어
3월 소비자물가 결과 발표 이후 미국 시카고 페드워치에 따르면 5월 FOMC에서 25bp 금리인상을 단행할 확률이 60% 이상으로 나타나 추가 긴축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하지만 12월 FOMC에서 정책금리 방향은 4.25∼4.50%에 머물 확률이 35%가량으로 전망되며, 연내 두세 차례 금리인하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 연준은 연내 금리인하에 회의적인 입장이지만 FOMC 의사록을 살펴보면 은행 파산 사태 이후 연말 경기침체를 우려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구조적 측면에서 연준이 목표로 하는 2%에 도달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수요 둔화 여파로 실업률 상승이 동반된다면 3∼4%대 물가 수준에서도 금리인하 여건은 조성될 수 있다.미국 노동시장이 아직 양호하긴 하나, 최근 발표된 2월 구인 건수는 2년 만에 1000만 건을 하회했으며,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20만 명 초반대에서 조금씩 늘어나며 경기 둔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국 경제성장률과 밀접하게 움직이는 공급자관리협회(ISM) 제조업지수는 지난해 10월 이후 기준선을 하회하는 하락세가 지속돼 생산 활동이 위축되고 있다. 미국 소매 판매 역시 전월 대비 감소세가 이어졌는데, 초과 저축 감소와 신용카드를 통한 레버리지 여건 위축 등을 고려하면 향후 성장세는 더 약화될 수 있다. 이는 상반기를 지나면서 기업의 투자와 고용 위축, 실업률 상승이라는 결과로 반영될 수도 있다.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금융시장 내 많은 기관과 전문가가 이견을 보이지만, 하반기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 등을 고려할 때 연말로 갈수록 인하 쪽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대외 수요 약화, 내수 부진 심화 우려
하지만 한국의 펀더멘털을 고려할 때 통화정책은 긴축보다 완화적인 스탠스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수출 의존도가 큰 한국 경제에서 대외 수요 약화는 향후 경기 기대치를 낮출 수밖에 없다. 올해 초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수요 개선 기대로 한국 성장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제고한 바 있다. 하지만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이연수요가 자국의 서비스 중심 내수에 주로 맞춰지고, 이전과 같이 적극적인 재정 지출 확대를 통한 부양보다 경기 정상화에 초점을 두면서 한국이 받을 수 있는 수혜는 과거에 비해 많지 않다.
물론 하반기에는 한국 수출 증가율이 우호적인 기저효과에 따라 반등할 수 있지만, 회복 강도는 기대보다 약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하반기 미국이 경기침체에 진입할 확률이 높음을 고려할 때 국내 수출 부진은 지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 경제성장 전망치의 하향 조정이 뒤따를 수 있다. 내수 역시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고금리에 따른 기업들의 비용 부담, 가계의 소비 여력 약화, 부동산시장 불안 등을 고려할 때 내수 부진이 심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 펀더멘털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상반기를 지나면서 더 가시화된다면 한국은행 역시 긴축 기조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후반으로 갈수록 미국 금리인하가 가시화할 경우 한국은행 또한 대내외 수요 부진을 이유로 선제적인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김유미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
Copyright © 주간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