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여씨춘추’[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92〉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2023. 4. 26.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평한 시대의 음악은 고요하고 명랑해서 정치가 올바르고, 불안한 시대의 음악은 흥분하고 분노로 가득 차 있어서 정치가 괴이하고, 망해가는 시대의 음악은 감상적이고 슬퍼서 정치가 위태롭다." 여불위(呂不韋)의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오는 말이다.
독일계 스위스 작가 헤르만 헤세는 이 말을 인용하며 2000여 년 전의 중국인들이 서양 음악이론가들보다 음악의 본질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었다고 말한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태평한 시대의 음악은 고요하고 명랑해서 정치가 올바르고, 불안한 시대의 음악은 흥분하고 분노로 가득 차 있어서 정치가 괴이하고, 망해가는 시대의 음악은 감상적이고 슬퍼서 정치가 위태롭다.” 여불위(呂不韋)의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오는 말이다. 독일계 스위스 작가 헤르만 헤세는 이 말을 인용하며 2000여 년 전의 중국인들이 서양 음악이론가들보다 음악의 본질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었다고 말한다.
여불위에 따르면 음악은 본질적으로 고요하고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어야 한다. 그는 초나라가 멸망한 원인을 본질로부터 멀어진 음악에서 찾았다. 그들의 음악은 우울하고 격렬했으며 그럴수록 나라는 더 위험해지고 결국에는 망했다. 헤세는 그의 마지막 소설 ‘유리알 유희’(1943년)와 친구인 오토 바슬러에게 보낸 편지(1934년)에서 구체적으로 ‘여씨춘추’를 인용하면서 대중을 현혹하고 선동하는 음악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경계한 것은 음악이 사람들을 도취시켜 하나의 덩어리로 만드는 것이었다. 개인에게서 개인성을 지워버리고 수백 수천 수백만 명을 하나의 집단 충동으로 묶어 열광하게 만드는 영웅주의를 경계한 것이다. 그는 “환성, 비명, 감동, 눈물로 가득한 친목”을 유발하는 영웅주의가 결국에는 “전쟁, 광기, 유혈”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가 염두에 둔 것은 나치의 광기였고 그의 생각은 결과적으로 틀리지 않았다.
그는 바흐와 모차르트가 음악의 본질에 더 가까운 작곡가라고 생각했다. 베토벤도 아니었고 바그너는 더더욱 아니었다. 그의 말마따나 그의 생각은 음악을 너무 도덕적인 잣대로 가늠하는 편협한 청교도주의에 가까웠다. 그러나 음악이 본질적으로 고요하고 조화롭고 명랑해야 건강한 사회라는 생각은 그리 틀린 것이 아닐 수 있다. 헤세의 말대로라면, 아니 그가 인용한 여불위의 진단대로라면, 슬픔과 분노를 비롯한 격렬한 감정들로 가득한 현대 음악은 위태로운 시대의 징후일지 모른다.
여불위에 따르면 음악은 본질적으로 고요하고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어야 한다. 그는 초나라가 멸망한 원인을 본질로부터 멀어진 음악에서 찾았다. 그들의 음악은 우울하고 격렬했으며 그럴수록 나라는 더 위험해지고 결국에는 망했다. 헤세는 그의 마지막 소설 ‘유리알 유희’(1943년)와 친구인 오토 바슬러에게 보낸 편지(1934년)에서 구체적으로 ‘여씨춘추’를 인용하면서 대중을 현혹하고 선동하는 음악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경계한 것은 음악이 사람들을 도취시켜 하나의 덩어리로 만드는 것이었다. 개인에게서 개인성을 지워버리고 수백 수천 수백만 명을 하나의 집단 충동으로 묶어 열광하게 만드는 영웅주의를 경계한 것이다. 그는 “환성, 비명, 감동, 눈물로 가득한 친목”을 유발하는 영웅주의가 결국에는 “전쟁, 광기, 유혈”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가 염두에 둔 것은 나치의 광기였고 그의 생각은 결과적으로 틀리지 않았다.
그는 바흐와 모차르트가 음악의 본질에 더 가까운 작곡가라고 생각했다. 베토벤도 아니었고 바그너는 더더욱 아니었다. 그의 말마따나 그의 생각은 음악을 너무 도덕적인 잣대로 가늠하는 편협한 청교도주의에 가까웠다. 그러나 음악이 본질적으로 고요하고 조화롭고 명랑해야 건강한 사회라는 생각은 그리 틀린 것이 아닐 수 있다. 헤세의 말대로라면, 아니 그가 인용한 여불위의 진단대로라면, 슬픔과 분노를 비롯한 격렬한 감정들로 가득한 현대 음악은 위태로운 시대의 징후일지 모른다.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한미 ‘대북 핵반격 액션플랜’ 만든다
- “버스 6대로 공항까지 피말리는 33시간… 수송기 타고서야 눈물”
- 서울 압구정 재건축 ‘최고 50층’ 올린다
- [단독]민주, 비공개 회의서 ‘꼼수 탈당’ 민형배 복당 논의
- 스쿨존서 음주운전 사고… 아동 사망땐 최대 26년형
- 4월 중순까지 무역적자 266억달러… “반도체 착시효과 사라져”
- [단독]늘어나는 해외도피 마약사범… 국내 공급책으로
- 檢, ‘돈봉투 의혹’ 송영길 出禁… 피의자로 입건
- “전세사기 피하려면, 집주인 체납 표시된 ‘말소포함’ 등기 확인을”
- 81세 바이든 “내년 재선 도전” 공식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