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산은 등 7개 금융기관 이전”…이런 큰 그림 그리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이 금융중심지가 되고 국가 균형발전을 이루려면 산업은행을 비롯한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지난 24일 국민의힘 김희곤 국회의원 주최로 열린 '국가 균형발전 및 부산 금융중심지 육성' 토론회에서 동의대 배근호 교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임금 격차를 지방 인구 유출의 근본 원인으로 꼽으며 정책금융기관의 부산 이전을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이 금융중심지가 되고 국가 균형발전을 이루려면 산업은행을 비롯한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지난 24일 국민의힘 김희곤 국회의원 주최로 열린 ‘국가 균형발전 및 부산 금융중심지 육성’ 토론회에서 동의대 배근호 교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임금 격차를 지방 인구 유출의 근본 원인으로 꼽으며 정책금융기관의 부산 이전을 주장했다. 이전 대상은 산업은행을 포함해 예금보험공사 IBK기업은행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수출입은행 한국투자공사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모두 7곳이다. 여야 정치권이 이를 두고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하니 후속 조치가 기대된다. 부산은 2009년 금융중심지로 지정됐으나 실속이 없다는 비판을 듣고 있다. 남구 문현금융센터 일대에는 BIFC가 들어서고 한국예탁결제원과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등 금융 공기업이 이전했다. 그러나 외국계나 민간 금융회사를 영입하지 못해 금융 비즈니스가 지지부진하다.
정부는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300곳 이상을 지방으로 옮기는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을 6월 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수도권에 있는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해 새로운 균형발전 동력을 만들고 지역 특화 발전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정부 정책에 발맞춰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같은 금융공기업 본사의 이전을 통해 부산 금융중심지의 새 판을 짜야 할 때다. 현재 부산에는 정책금융기관의 해양금융부서가 집적된 해양금융종합센터, 해운산업 지원 기관인 한국해양진흥공사, 해양금융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부산해양금융협의체가 구축돼 있다. 해양금융 부문은 부산이 서울보다 인프라를 잘 갖추고 경쟁력이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해양금융 관련 기관에 인력을 파견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이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한다면 해양금융 부문 발전이 가능해진다. 친환경 선박 도입 등 지원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해 연관 산업 발전을 꾀하거나 해운항만산업 금융 공급을 확대할 수도 있다.
균형발전 차원에서도 정책금융기관 이전은 필수적이다. 부산·울산·경남이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기간산업의 중요한 축인 만큼 산업은행 이전 효과가 클 것이다. 이전 정책금융기관이 공공기관 간 협업을 통해 기업 성장단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금융지원을 강화한다면 부울경 경제 활성화는 한층 빨라질 수 있다. 정책금융기관의 집적효과로 기업이 성장하면 민간 금융기관도 몰려 부산이 명실상부한 금융도시로 거듭나게 된다.
그동안 부산시가 기업유치와 일자리 확충 정책을 펼쳤으나 뚜렷한 결실이 미흡했다. 좋은 일자리를 찾아 청년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지방 소멸이 가속화하고 있다. 좋은 일자리로 꼽히는 정책금융기관의 부산 이전은 시급한 과제다. 부산시와 지역 정치권은 7개 금융기관의 부산 이전이란 큰 그림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와 실행계획을 구체화하기 바란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