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우크라 지원은 개별 국가가 결정할 문제… 한미 정상 간 토론할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백악관이 2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에 대해 "주권을 가진 국가가 결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워싱턴DC 현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탄약 지원을 요청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밝히며 "첨단 무기를 지원하는 국가도 있고, 아닌 곳도 있는데 그것은 선거로 당선된 지도자와 그 나라의 국민의 뜻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백악관이 2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에 대해 “주권을 가진 국가가 결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가능성을 언급하자 러시아가 반발하는 상황에서 미국이 원론적인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워싱턴DC 현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탄약 지원을 요청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밝히며 “첨단 무기를 지원하는 국가도 있고, 아닌 곳도 있는데 그것은 선거로 당선된 지도자와 그 나라의 국민의 뜻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커비 조정관은 “그럼에도 분명히 기대하는 것은 이번 국빈 방문을 통해 양국 정상들 간에 분명히 토론이 될 것이란 점”이라며 “얼마나 더, 얼마나 덜 지원할지에 대해선 윤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기 때문에 저희가 예단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확장억제와 관련한 양국의 발표가 예정돼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커비 조정관은 “확장억제와 관련해 오늘과 내일 사이 양국 정상 간 다양한 토론이 이뤄질 것이고, 이번 국빈 방문을 마무리하며 이것에 대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커비 조정관은 또 “한미동맹은 계속해서 북한과의 대화를 추진할 것을 원한다”며 “평화롭고 외교적인 방법을 통해 오래된 차이를 해결할 뿐 아니라 한반도의 완벽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최근 ‘중국 정부가 미국 메모리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에 대한 수출통제를 검토 중인 가운데, 마이크론의 중국 수출이 금지될 경우 미국 정부가 한국 기업들이 그 공백을 채우지 말라고 우리 정부에 요청했다'는 보도와 관련해선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커비 조정관은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는 건 한미는 함께 지난 기간 동안 협력을 심화해 왔다”며 “국가 안보에만 국한된 게 아니라 경제 안보, 나아가 첨단 기술을 보호하는 데 있어서도 협력을 강화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여기엔 반도체와 관련된 투자 조율하는 것도 포함되고, 경제적 압박에 대해서 중요 기술을 지켜내는 것도 포함된다”며 “이번 주 국빈 방문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의 공고한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현빈 기자 hbkim@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창정, 주가조작 일당에 30억 투자 논란 "나도 피해자"
- '계곡 살인' 이은해, 남편 죽여 놓고 "남편 보험금 8억 달라" 청구
- "'BTS 지민' 같이…" 외국 배우, 韓병원서 턱 수술 후 사망
- 일본 스타트업 우주선 통신 두절...민간 최초 달 착륙 시도 '실패'
- 토트넘 선수단, 1-6 대패 뉴캐슬 원정 응원 팬들에 티켓값 환불
- 윤 대통령, 국대 야구 점퍼에 바이든 선물한 모자·선글라스 쓰고 워싱턴 산책
- 마약 투약자 유치장 입감 후 사망... 머리, 벽에 찧고 이상행동
- 뷔·백종원 업고도 고전? '국뽕'이 이제 안 먹히는 이유는
- 역대 정부 모두 실패한 '지방대 정책'..."1인당 교육비 서울대 수준으로 높여야"
- [단독] "내 땅 가져가 개발하더니 4년 뒤 보상 규모는 반 토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