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난 車 고쳐가며 1174km 이동…외교·군사력 총동원

김성훈 기자(kokkiri@mk.co.kr), 한예경 기자(yeaky@mk.co.kr), 박인혜 기자(inhyeplove@mk.co.kr) 2023. 4. 25. 20: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민들 긴박했던 수단 탈출
교전속 항공이동 불가 판단
UAE측 육로이동 제안 수용
軍, 수송기·청해부대 급파
尹대통령 전용기서 작전 지휘
28명 서울공항으로 무사귀환
윤석열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공군 1호기에서 수단 교민 철수 관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전이 격화되고 있는 수단에서 무사 탈출한 한국 교민 28명이 25일 오후 공군 다목적수송기 KC-330편으로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천신만고 끝에 전쟁터를 벗어난 교민들은 주수단 한국대사관을 출발한 지 사흘 만에 반가운 한국 땅을 다시 밟았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이도훈 외교부 2차관, 임종득 국가안보실 2차장, 정상화 공군참모총장 등은 공항으로 나가 교민들을 맞았다. 공항으로 교민들을 마중 나온 사람들 중에서는 사선(死線)을 넘어 무탈하게 돌아온 가족을 보고 안도감에 눈물을 터뜨리는 이도 있었다. 이번 '프라미스(promise) 작전'은 교민 집결과 대피 루트 선택, 이동 과정 등 하나하나가 도전의 연속이었다. 먼저 9곳에 떨어져 있던 교민들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주수단 한국대사관으로 집결하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대사관 직원들은 교민을 챙기면서 비축해둔 컵라면으로 버텼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에 따르면 정부는 수도인 하르툼의 국제공항을 통해 교민들을 가급적 신속하게 이송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현지 교전 상황과 이동 가능 여부, 이미 발생한 항공기 피해 등을 감안해 최종적으로 '항공 이동이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가운데 '해볼 만한' 대안을 제안한 것은 아랍에미리트(UAE)였다. 결국 정부는 UAE가 제안한 육로 이동 제안을 수용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공항이 대사관에서 1.3㎞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지만 현장 곳곳이 교전 중이라 정보 파악이 힘들었다"며 "하지만 현지 사정을 잘 알고 있는 UAE 정부가 육로 이동을 제안해 안전하게 옮겨 갈 수 있었다"고 밝혔다.

무력 분쟁을 피해 수단을 극적으로 탈출한 교민 28명이 25일 오후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착륙한 공군 KC-330 시그너스 다목적 공중급유기에서 내려 버스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대사관을 출발한 교민들은 약 1174㎞에 이르는 육로 이동 중에도 마음을 놓을 수 없었다. 수도 하르툼과 해안도시인 포트수단은 840㎞ 정도 떨어져 있다. 그러나 이송 행렬은 돌발 상황 등을 고려해 300㎞ 이상 돌아가는 경로를 택했다. 결국 이송 행렬은 평소에는 13시간 정도 걸리던 거리를 30시간 넘게 마음을 졸이며 달렸다.

이송 행렬은 이동 중 일어난 차량 고장을 고쳐 가며 결국 위험 지역을 빠져나왔고, 포트수단에서 대기 중이던 C-130J 수송기에 올라 수단을 빠져나올 수 있었다. 이날 귀국한 수단 교민 김현욱 씨는 "이동 과정이 위험하지 않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폭탄 소리도 많이 들렸다"면서 "다른 나라에서는 버스가 습격, 약탈당했다는 이야기도 있었는데, 우리는 그런 일 없이 안전하게 와서 다행"이라고 답했다.

이번 '프라미스 작전'의 밑바탕에는 외교력과 군사력, 정보력을 총동원한 정부의 노력도 있었다. 현지 외교공관과 국방부 정보본부, 국가정보원 등은 최적의 대피 경로와 시기를 택하기 위해 현지 네트워크와 한미 간 협조 체계를 가동했다. 이번 작전에 필요한 한국 공군기의 16개국 영공 통과 협조도 하루 안에 끝났을 정도로 정부와 군 당국 차원의 외교가 매끄럽게 이뤄졌다.

군 당국은 이번 작전에 공군의 C-130J와 KC-330 등 수송 자산을 투입했다. 육군 특수전사령부와 공군 공정통제사(CCT) 등 최정예 요원들도 동원됐다. 오만 해역에서 임무를 수행 중이던 해군 청해부대도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수단 인근 해역으로 즉시 이동해 '플랜B'를 대비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군이 재외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에 육해공군 합동전력을 모두 투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의미를 뒀다. 윤 대통령은 24일 미국으로 출국했지만, 공군 1호기 내에서 실시간으로 상황을 보고받고 지시하는 한편, 용산 국가안전보장회의와 기내 영상회의를 이어가며 상황을 진두지휘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은 밝혔다.

[김성훈 기자 / 한예경 기자 / 워싱턴 박인혜 기자 / 국방부 공동취재단]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