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재산이 한순간에, 안심하고 살 곳 없다…아파트도 ‘깡통전세’ 빨간불
2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전국 시·군·구 가운데 아파트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선 지역은 총 33곳으로 나타났다. 실거래 내역이 공개되지 않는 기초자치단체까지 포함하면 깡통주택 위험 지역은 더 늘어날 수 있다.
깡통주택이란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더 비싼 집을 의미한다. 보통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80% 이상이면 깡통전세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국도시연구소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2021년부터 2022년 사이 10% 떨어졌지만, 전세가율은 2020년 80%에서 2021년 92.2%로 올랐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아파트 전세가율이 110.5%까지 치솟기도 했다. 아파트 매매가가 1억원이라고 가정하면 전세 보증금이 1억1000만원에 달한다는 뜻이다.
특히 지방을 중심으로 깡통전세 우려가 확산했다. 충북(115.3%), 전북(110.7%), 충남(110.1%) 경북(109.3%) 등 아파트의 전세가율이 100%를 초과했다. 세종(48.9%), 서울(54.8%), 경기(75.5%), 인천(78.6%), 부산(78.8%)만 전세가율이 80%를 밑돌았다.
아파트 깡통전세 위험이 큰 지역은 대부분 공시가격 1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가 많은 곳이었다. 또 산업단지와 같은 배후 수요를 갖춘 지역도 있었다. 일자리를 찾아온 노동자들이 주택을 매입하기보다는 실거주용 전세를 선호해 전세가율이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도시연구소 관계자는 “아파트라도 임차인이 보증금을 회수하기 어려운 역전세 피해에서 안전할 수 없다”며 “수년 전 갭투자가 성행했던 만큼 깡통전세 발생 위험성은 당분간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박항서 감독 다시 모셔오자” 베트남 축구팬 뿔난 이유는 [신짜오 베트남] - 매일경제
- [단독] “여성 최대 반전은 성기”…경찰 간부 ‘여기자 성희롱 징계’ 불복 - 매일경제
- 올해 97%나 폭락한 이 기업…“우리가 살려볼게” 나선 곳은 - 매일경제
- “순식간에 300만장 팔렸다”…‘홈페이지 마비’ 난리난 獨, 무슨일이 - 매일경제
- 한국 ‘물건’ 사고 싶어서 난리…전세계 국가 러브콜 임박했다는데 - 매일경제
- “나 방첩사야”…2시간 넘게 해병대 영내 활보한 민간인 - 매일경제
- 개미 울린 공매도 '검은세력' 잡았다 - 매일경제
- 휴대폰 요금 확 줄어들까…4만원대 5G 요금제 나왔다 - 매일경제
- 국민연금 월200만원 이상 수급자 1만5290명…한달새 2.8배 급증 왜? - 매일경제
- 미네소타에 등장한 수원 유니폼, 그 정체는? [MK현장]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