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학습·휴식 한곳서…관악 '청년공간' 실험

김대훈 2023. 4. 25. 18: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관악구는 '청년의 도시'다.

만 19~39세 청년 인구(20만1427명·작년 말 기준)가 서울 시내 자치구 25곳 중에서 가장 많다.

청년청 운영을 맡은 오형진 관악문화재단 청년문화팀장은 "재단이 정하는 건 최소한의 운영 원칙밖에 없다"며 "철저하게 청년이 제안하는 대로 그들이 주체가 돼 만들고 이끌어나가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관악청년청이 관악구의 청년 문화를 꽃피울 공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층 규모 '관악청년청' 개관
카페·강당·공유오피스 설치
'미래 세대' 지원 플랫폼으로
관악청년청 개막식이 열린 지난 22일 청년청 2층에 마련된 ‘청년카페’에서 논알코올 칵테일쇼가 펼쳐지고 있다. 뉴스1


서울 관악구는 ‘청년의 도시’다. 만 19~39세 청년 인구(20만1427명·작년 말 기준)가 서울 시내 자치구 25곳 중에서 가장 많다. 전체 인구 대비 비중(41.4%)도 가장 크다.

특히 25~29세 청년이 압도적으로 많다. 인구 그래프를 보면 이 연령대 인구만 유난히 많아 마치 UFO 모양처럼 보인다. 서울로 모여드는 젊은이들이 흔히 신림동과 봉천동의 저렴한 주택가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관악구는 1인 가구 비율이 절반(49.5%)에 달하는 곳이기도 하다. 상당수가 외로움, 고립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청년 세대의 활기와 문제를 동시에 품고 있는 관악구에 유난히 ‘청년 정책’이 많을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청년 스스로 문제 해결 지원

청년 전용 문화공간인 ‘관악청년청’

관악구는 지난 22일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청년 전용 문화공간인 ‘관악청년청’을 열었다. 봉천동 남부순환로에 개장한 이 건물은 높아진 생활비와 좁아진 취업문에 시달리는 청년층이 어울리고, 일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한 공간이다. 관악구는 이 7층짜리 건물(연면적 1528㎡)을 마련하는 데 130억원가량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콘셉트는 철저하게 청년 중심이다. 2층에 예비 카페 창업가가 활용할 수 있는 청년 카페가 들어섰고, 3층에는 모임과 강연을 열 수 있도록 강당을 마련했다. 4층은 배움과 성장의 공간이다. 세미나실과 상담실이 있다. 5층엔 청년 1인 크리에이터가 꿈을 키울 미디어실을 마련했고, 공연 연습실과 작업실도 있다. 6층과 7층은 온전히 창업가를 위해 꾸몄다. 코워킹 플레이스와 공유부엌, 회의실, 창업보육실 등이 들어섰다.

프로그램을 채우는 건 청년들 몫이다. 청년청 운영을 맡은 오형진 관악문화재단 청년문화팀장은 “재단이 정하는 건 최소한의 운영 원칙밖에 없다”며 “철저하게 청년이 제안하는 대로 그들이 주체가 돼 만들고 이끌어나가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젊은이들이 뽑는 ‘청년청장’

22일부터 이틀간 열린 개막 기념 부대행사를 보면 관악청년청이 앞으로 어떻게 쓰일지 가늠할 수 있다. 관악구 문화지원사업인 ‘관희씨(관악예술 희망씨앗)’를 통해 성장한 아띠클래식 팀이 개관 축하 공연을 하고, 신림동의 공방 ‘마을과 고양이’에서 에코백과 손수건 만들기 체험 행사를 진행했다. 약사단체 늘픔가치는 건강에 관심이 많은 청년을 대상으로 ‘올바른 영양제 복용법’을 알려주고, 공유주방에선 관악청년네트워크 회원들이 비건 음식을 함께 만들고 시식했다.

오 팀장은 “카페는 예비창업자들이 메뉴를 실험해볼 공간으로 작업장에선 공방 창업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최근 청년의 ‘마음 건강’ 문제가 심각한데 상담실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이런 용도는 그의 희망 사항일 뿐 실제 어떤 프로그램이 마련될지는 청년청에 찾아올 누군가가 무엇을 생각하고, 제안하느냐에 달려 있다.

관악구는 청년들이 위원회를 꾸려 청년청의 운영 방향을 결정하고, 나아가 청년청을 대표하는 청장도 뽑길 바라고 있다. 함께 성장하고 창업하는 와중에 새로운 청년 문화가 만들어지면 자연스레 청년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이 정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악청년청은 관악구에 살지 않는 젊은이도 이용할 수 있다. 자유롭게 다른 지역 청년들과 연대하고 소통하라는 취지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관악청년청이 관악구의 청년 문화를 꽃피울 공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