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늘어나는게 '순식간'..벌써 코로나 이전 수준까지 "어쩌나"
2월 연체율 0.36% 기록.. 30개월 만 최고
가계 신용대출 등 상승세 주도 "고금리 영향"
2개월 연속 상승세.. 대출 부실화 우려 확산
정부 금융지원책 종료 앞둬.. 연체율 부추겨
금융당국 충당금 확보 서둘러.. 전망 '불투명'
대출 연체율이 무섭게 치솟고 있습니다.
절대 수치로 아직 낮다고 하지만, 워낙 고금리 시기가 길었던데다 상승 폭이 확대되면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더구나 코로나19 때 빌린 돈이, 하반기 들어 가파른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돼 금융권 부담을 더하고 있습니다.
들어오는 건 뻔한데, 빚만 쌓일 실정이라 가계 한숨만 더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가계대출 연체율 0.32%.."코로나 이전 수준 육박"
금융감독원은 오늘(25일)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이 1월 말과 비교해 0.05%포인트(p) 오른 0.36%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2월 말 연체율(0.25%)과 비교하면 0.11%p 오른 수준입니다.
전체 은행 계정 원화 대출금과 신탁 대출금에서 한 달 이상 원리금을 갚지 못한 비율로 연체율을 집계했습니다.
은행권 연체율은 지난 1월 0.06%p 올라 2021년 5월(0.32%) 이후 1년 6개월 만에 0.3%대에 진입한 바 있습니다.
이후 2월까지 2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보이면서 2020년 8월(0.38%)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라섰습니다.
■ 신규 연체 1조 9,000억 원 발생.. 연체율 0.04%p 올라
지난 2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전월과 비슷한 1조 9,000억원 수준이고 연체 채권 정리규모는 8,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2,000억 원 늘었습니다.
신규 연체율은 0.09%로 전달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1년 전(0.05%)보다는 0.04%p나 올랐습니다.
특히 2월 말 원화 대출 중에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4%p 상승한 0.32%를 기록했습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한 2020년 3월부터 꾸준히 하향세를 보였지만,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9월 말(0.19%)부터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지난 2월 코로나 본격 확산 이전인 2020년 2월 말 연체율인 0.3%를 처음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0.18%에서 0.20%로 0.02%p 상승했습니다.
■ 신용·중소기업 대출 등 영향 커
이같은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의 중심엔 신용대출이 자리했습니다.
2월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연체율(0.64%)이 전달보다 0.09%p 오르며 사실상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지난해 2월 말(0.37%)과 비교해 0.27%p 오른 것으로, 코로나 확산 이전인 2020년 2월 말 연체율(0.43%) 수준도 넘어섰습니다.
변동금리 비중이 큰 신용대출 중심으로 고금리 영향을 더 크게 받은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또 기업대출 연체율(0.39%)이 1월 말 대비 0.05%p 올랐습니다.
이는 2020년 2월 말(0.54%)보다는 낮지만, 중소기업 대출의 경우 2월 말 연체율(0.47%)이 전달보다 0.08%p 올랐습니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0.09%)이 전달과 비슷한데 비해 양상이 달라, 중소기업의 낮은 자금력 등이 연체율 상승을 부추기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 연체율 더 오를 수도.. 제2 전세사기 등 문제 우려
코로나 시기 받았던 신규 대출 연체율이 올해 말부터 오를 가능성이 높은 것도 주목해야할 부분입니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대출 상환을 유예하고 만기 연장 등 금융 지원책을 펼쳤습니다.
이로 인해 코로나 때 예전보다 연체률이 낮았던게 오는 9월이면 이같은 만기연장이나 상환유예 조치가 끝나게 됩니다.
통상 연체율이 신규 대출 후 1~2년 시차를 두고 상승하는 점을 감안하면 코로나 확산시기에 빌렸던 돈은 올해부터 재차 연체율이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입니다.
여기에 국내 실물경기 역시 침체 분위기를 보이는 상황이라, 가계 대출상환능력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맞물립니다.
더구나 고금리와 정부 대출 규제 영향으로 인해 신규 대출이 줄고 있는 것도 수치를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연체율은 연체 대출 금액을 전체 대출액으로 나눠 계산하는데, 대출이 감소하면 그만큼 연체율이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은행 등 금융권에선 고금리 상황에 따라 당분간 연체율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충당금 확보 등 대책을 서두르는 분위기입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기존 시중은행만 아니라 제2금융권과 카드사까지 범위를 넓히면 이같은 연체율 상승이슈가 더 심화될 수 있다"면서 "또 무리하게 빚을 지고 투자에 나선 경우 연체 상황이 더 악화돼, 재차 제2의 전세사기 등 문제로 확산될 수 있는만큼 한층 주의가 요구된다"고 지적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