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경기 둔화 조짐에...슬금슬금 오르는 은행 연체율

김지섭 기자 2023. 4. 25. 12: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월 연체율 0.36%
2년6개월 만에 최고치

고(高)금리 기조가 길어지고, 경기 둔화 조짐이 나타나면서 국내 은행들의 연체율이 조금씩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절대적 연체율 수준이 아직 낮은데다 향후 부실에 대비해 충당금도 충분히 쌓고 있어서 당장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향후 금리 인하가 이뤄지지 않고, 경기 침체 폭이 커질수록 은행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이 0.36%를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1월말(0.31%)보다 0.05%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지난해 2월말(0.25%)과 비교하면 0.11%포인트 상승했다. 2020년 8월(0.38%)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연체율이다. 2월 중 원화대출 연체율 변동폭(전월말 대비)은 2020~2022년 계속 0.02%포인트에 머물렀으나 올해 들어서는 0.05%포인트로 벌어진 상태다.

지난 2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전월과 비슷한 1조9000억원 수준이었다. 전월 대출잔액 대비 신규 연체 발생 비율은 0.09%로 지난해 2월(0.05%)보다 0.04%포인트 증가했다. 신규 연체율은 지난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일곱 차례에 걸쳐 올리면서 꾸준히 오르고 있다.

차주(借主) 유형 별로 살펴보면 지난 2월 기업·가계대출 연체율은 각각 0.39%, 0.32%를 기록했다. 1월말보다 각각 0.05%포인트, 0.04%포인트 상승했다. 기업 중에서도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폭이 0.08%포인트(0.39%→0.47%)로 컸다. 대기업 연체율은 1월과 2월 모두 0.09%였다. 가계대출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연체율(0.2%)보다 신용대출 등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의 연체율(0.64%)이 3배 이상 높았다. 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전월 대비 증가폭도 0.09%포인트로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증가폭(0.02%포인트)보다 훨씬 높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은 금리가 더 높고, 차주의 경제 여건 변동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연체율이 더 높고, 경기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2월을 기준으로 지난 3년(2020~2023년)간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1%에서 0.20%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가계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같은 기간 0.51%에서 0.64%로 0.13%포인트 증가했다.

국내은행들의 연체율은 3~4%대를 넘었던 2008년 금융위기나 1997년 외환위기 당시와 비교해 매우 안정적인 수준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일부 ‘착시’에 따른 연체율 조정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최근 3년간(2020∼2022년)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적용받은 소상공인 등의 대출이 연체·부도율 등 지표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숨은 부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숨은 부실이 한꺼번에 터질 경우, 은행의 건전성은 크게 악화하고 ‘뱅크런’ 등의 혼돈이 빚어질 수 있다. 또한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서 금리를 낮추기 어려운 여건이 지속되고, 하반기 수출 개선이 기대만큼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경기 부진으로 기업과 가계의 상환 여력이 크게 악화할 수 있어 유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정부와 금융 당국은 은행에 선제적인 충당금 확보를 적극 주문하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과 주요 금융지주사는 1분기 실적에 반영할 충당금을 당초 계획보다 크게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5대 금융지주와 은행은 지난해 각각 5조9368억원, 3조2342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새로 적립했다. 5대 금융지주와 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충당금 잔액은 각 13조7608억원, 8조7024억원에 이른다. 올해 1분기 충당금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2배 정도로 증가할 경우, 금융지주에서는 최소 약 1조6000억원, 은행에서는 약 6000억원이 추가된다. 한 시중은행 리스크 관리 담당 임원은 “숨은 부실이나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향후 경기 침체 등의 우려가 크다는 것을 알고 있고, 연체율을 비롯해 충당금 관리도 철저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