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바닥 탈출한 한국경제, 하반기 반등 계기 마련할까
한은, 연간 성장률 하향조정 예고…IT경기 회복·中리오프닝 효과가 관건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민선희 기자 = 한국 경제가 바닥을 찍고 반등의 계기를 마련했다.
지난해 4분기 2년 6개월 만에 역성장을 경험한 우리 경제는 민간 소비 회복 등에 힘입어 올해 1분기 다시 플러스(+) 전환했다.
다만 수출이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데다 투자 역시 부진하면서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정보기술(IT) 경기 회복,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 올해 연간으로는 1%대 중반 저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1분기 0.3% 성장…투자·수출 부진 속 민간소비가 견인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속보치)은 0.3%로 집계됐다.
우리 경제 성장률은 2020년 2분기(-3.0%) 이후 2년 6개월 만인 지난해 4분기(-0.4%) 마이너스 전환했지만, 한 분기 만에 다시 플러스로 돌아섰다.
수출과 투자가 여전히 부진했지만 민간 소비가 살아나면서 플러스 성장을 이끌었다.
지난해 2분기(2.9%)와 3분기(1.7%) 빠르게 회복했던 민간 소비는 4분기(-0.6%) 주춤했지만, 올해 1분기(0.5%) 오락문화와 음식·숙박 등을 중심으로 다시 증가세를 보였다.
마스크 의무화 해제 이후 여행 및 공연 등의 대면 활동이 늘어나면서 민간 소비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다만 지난해 4분기(2.9%) 버팀목 역할을 했던 정부 소비는 기저효과 등으로 인해 올해 1분기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
건설투자는 1분기 0.2% 증가로 증가 폭이 축소됐고. 지난해 4분기 2.7% 증가했던 설비투자는 올해 1분기 기계류를 중심으로 4.0% 감소하면서 부진했다.
지난해 4분기 각각 4.6%와 3.7% 감소했던 수출과 수입은 올해 1분기 3.8%와 3.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수출은 반도체 등 IT 부문의 부진이 지속됐지만 자동차 등 운송장비와 1차 금속, 2차전지, 화학제품 등이 호조세를 보였다. 수입은 화학제품 등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1분기 수출 증가 폭(3.8%)은 2021년 1분기(4.1%) 이후 2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다만 1분기 성장기여도를 보면 순수출은 지난해 4분기(-0.5%포인트)보다는 개선됐지만, 1분기(-0.1%포인트)에도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2분기∼1999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4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분기 설비투자(-0.4%포인트)도 마이너스 성장기여도를 보인 가운데 민간소비(0.3%포인트)와 지식재산생산물투자(0.1%포인트)는 플러스로 나타났다.
민간 기여도는 지난해 4분기 -1.3%포인트에서 올해 1분기 0.4%포인트로 플러스 전환했지만, 정부 기여도는 같은 기간 0.9%포인트에서 -0.2%포인트로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민간 부문에서 성장률을 끌어올렸지만, 정부 부문은 성장 폭을 제한한 셈이다.
신승철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은 "전반적으로 내수가 소비 중심으로 증가한 가운데 순수출의 마이너스 기여도가 축소하면서 1분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신 국장은 "(지난해 4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우려가 있었지만 1분기 예상보다 양호한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것은 비 IT 부문과 민간 서비스 등이 성장에 기여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한은, 연간 성장률 하향 조정 예고 속 하반기 반등 여부 주목
1분기 플러스 성장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의 본격 회복을 예상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당초 한은은 지난 2월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우리 경제가 1.6%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구체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로 올해 상반기 1.1%, 하반기 2.0% 성장하는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그러나 이달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국내 경기에 대해 "올해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1.6%)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혀 오는 5월 내놓을 수정 경제전망에서 전망치 하향 조정을 예고했다.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1월 1.7%에서 지난 2월 1.6%로 낮아진 데 이어 다시 3개월 만에 추가로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한은이 추가로 내놓을 성장률 전망치는 국제통화기금(IMF)이나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제시한 1.5%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1%대 성장률 자체는 2%대로 여겨지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것이자 코로나19로 마이너스 성장했던 2020년(-0.7%),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0.8%)을 제외하면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1분기 플러스 성장 전환에도 성장률 전망 추가 하향 조정을 예고한 것은 우리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등 IT 경기 회복 시점이 불분명한 데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도 지연되는 등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중순 내놓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 중심의 경기 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둔화 원인으로 반도체를 적시했다.
그러면서 반도체가 수출과 전반적인 경기 회복에 가장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도 기대만큼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이 최근 발표한 '중국 리오프닝의 국내 경제 파급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성장률이 제조업 위주로 1%포인트 높아지면 한국의 성장률은 0.11%포인트 상승하지만, 서비스업 위주로 1%포인트 오르면 한국의 개선 폭은 0.08%포인트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중국 경제는 내수 중심으로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등 IT 부문의 대(對)중국 수출도 여전히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리오프닝 파급 효과가 지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다만 우리 경제가 당초 전망했던 상저하고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 국장은 "불확실성이 많지만, 하반기 IT 부진이 만회되고 중국 경제 회복 영향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성장 반등 모멘텀이 뚜렷해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pdhis959@yna.co.kr, ssu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중국인 모이면 소란 피우는 빌런 발생"…서교공 민원답변 논란 | 연합뉴스
- "얼마나 힘드셨나" 경찰, 반포대교 난간 20대 설득해 구조 | 연합뉴스
- 유도 영웅 하형주,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 임명(종합) | 연합뉴스
- 부산경찰청 브리핑까지 한 보험사기 사건, 법원서 무죄 | 연합뉴스
- "머스크가 공동 대통령이냐?"…트럼프 일부 측근·후원자 '경악' | 연합뉴스
- 경기북부경찰, '마약 자수' 방송인 김나정 조만간 소환조사 | 연합뉴스
- 지스타서 여성 인터넷 방송인 불법 촬영한 중학생 검거 | 연합뉴스
- 알리 '현금 1억원 뽑기'에 27만명 몰려…탕웨이가 추첨 | 연합뉴스
- "절반 자른다" 머스크 으름장에 떠는 230만 美공무원 | 연합뉴스
- "타이슨 복귀전 6천만가구 시청"…시청자들 "버퍼링만 봤다"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