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 관측 오차 42.5% 줄여…KAIST 새로운 기계학습 방법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연구진이 국제 공동연구로 강수 관측 오차를 크게 줄이는 방법을 내놓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김형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와 도쿄대 등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팀이 인공위성에 탑재된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관측값을 이용해 지상 강수량을 추정하는 새로운 기계학습 방법을 제안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위성 강수량 추정 분야 지식을 명시적으로 포함해, 학습 모델 내 상호 의존적인 지식 교환을 구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진이 국제 공동연구로 강수 관측 오차를 크게 줄이는 방법을 내놓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김형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와 도쿄대 등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팀이 인공위성에 탑재된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관측값을 이용해 지상 강수량을 추정하는 새로운 기계학습 방법을 제안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방법 대비 오차(RMSE)를 최소 15.9%에서 최대 42.5%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다.
정확한 강수량 파악은 재해 대응에 꼭 필요하다. 최근에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방법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데이터에서 자동으로 패턴을 인식, 모델을 구축하는 기존 데이터 주도 모델은 데이터가 대량으로 필요하고 일관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결과 원인 분석이 어렵다는 등 문제도 있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위성 강수량 추정 분야 지식을 명시적으로 포함해, 학습 모델 내 상호 의존적인 지식 교환을 구현했다. 여러 문제를 동시 학습해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멀티태스크 학습'을 사용해 강수 여부를 인식하는 분류 모델과 강수 강도를 추정하는 회귀 모델을 통합하고 동시 학습시켰다.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기계학습 모델에는 이밖에 다양한 물리적 메커니즘을 포함시킬 수 있다. 비 또는 눈, 진눈깨비 등 강수 종류 분류, 강수를 일으키는 구름 유형 분류를 포함시켜 앞으로 추정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지구물리 연구 레터'에 지난 16일 출판됐다. 한국연구재단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P+)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인공지능대학원지원을 받아 연구가 수행됐다.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G유플러스, 6G 커버리지 확장 기술 실증
- 내가 남긴 카톡 흑역사, 죽으면 가족한테 들킬까?[지브라도의 #트렌드로그]
- 美 “中 반도체 부족 메우지 말라”…韓 진퇴양난
- [ET시론]금태섭發 신당, 그 성공 여부는?
- [에듀플러스]'교육이 없는 나라' 저자 이승섭 KAIST 교수 "입시전쟁으로 교육이 사라져"
- 현대차, 1분기 영업익 3.6조 육박…역대 분기 '新기록'
- 검찰, '돈 봉투 의혹' 송영길 출국금지
- 네이버웹툰, 창작자 수익 더 늘린다... '연 1억' 작품 2000편 목표
- 엔씨소프트, '게임화면' 디자인권 확보... '리니지 라이크' 정면조준
- "우크라, 러 본토 타격 계획...미국이 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