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지역균형발전과 청년, 그리고 창업
‘노인과 바다’, ‘벚꽃 엔딩’, ‘지방소멸’.
부산의 위기를 나타내는 자조 섞인 용어다. 부산에서 청년이 사라지고 있고 대학과 일자리도 사라지고 있다. 결국, 지역 자체가 사라지고 있다는 무시무시한 얘기다.
부산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1.5%(23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를 나타내면서 부산이 대도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가 됐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부산은 2018년부터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됐고, 2022년에는 부산으로의 전입 인구보다 다른 지역으로 이사 간 전출 인구가 1만3602명 많았다. 부산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특히 부산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수도권으로 청년 순유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5~29세, 20~24세, 30~34세 순이다. 청년이 취업을 위해 지방을 떠나 수도권으로 몰리는 ‘탈 지방, 수도권 러시’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다. 부산 청년이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가장 큰 이유는 취업과 학업 때문이다. 일자리 문제는 청년이 선호하는 기업 유치와 청년이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업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일자리 문제는 창업으로 해결할 수 있고 창업으로 청년 유출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부산의 구인배율(신규 구인인원/신규 구직건수)은 31%다. 10명의 구직자당 일자리 3개가 제공된다는 의미다. 일자리를 취업으로만 해결하기보다 창업으로 풀 수도 있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 수가 급감하고 수도권 대학을 선호하면서 고교 졸업과 동시에 청년이 유출되고 있다. 지방대로서 한탄만 할 게 아니라 대책을 세워야 한다. 구호에만 그치고 무늬만 바꾸는 땜질식 통폐합이 아닌 대학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자율 혁신과 자발적 적정 규모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은 연구중심, 교육중심, 평생교육중심, 취업중심, 창업중심 등 맞춤형 특성화 교육 시스템으로 혁신해야 한다.
지방 인구소멸 위기는 비수도권뿐만 아니라 일부 광역시와 수도권 지방자치단체에도 닥친 현실이다.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방소멸지수를 보면, 전국 시·군·구 중 소멸 위험도가 가장 높은 위기 지역이 59곳인데, 이 중에 부산 지역도 포함돼 있다. 고령화 현상이 심각한 농어촌 지역의 소멸 위기가 클 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부산을 포함한 대도시 인근 지역이 대거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게 충격적이다. 인구 소멸 위기에 처해 있는 대도시 지역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기업 활동이 침체해 있다는 것이다.
지방소멸 위기는 국가 불균형 상태를 가속한다. 그래서 지역 균형발전이 필요하다. 균형 없는 성장은 양극화를 초래한다. 양극화는 지속 불가능의 근본 원인이다.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서 하드웨어(건물)보다 그 지역만이 가진 소프트웨어(교육, 문화, 콘텐츠)가 더 중요하다. 현 정부가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교육자유특구, 기회발전특구, 혁신도시 활성화, 창업 및 혁신 거점, 로컬 브랜드 및 지역특화 로컬콘텐츠 타운 등이 지역대학의 재활성화와 맥이 닿아 있다.
청년의 탈부산과 초고령 사회, 그리고 지방소멸은 인과관계로 맞물려 있다. 해법은 청년의 취업과 창업에서 찾아야 한다. 4차 산업혁명으로 창업의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새로운 기업을 만드는 창업과 더불어 새로운 직업을 만드는 창직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창업과 창직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런 창업 및 창직 교육은 대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전문적이고 실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언제나 위기에는 위험과 기회가 공존한다. 위기를 위험이 아닌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구조가 바뀌고 있는 지금이 기회다. 대학은 예비 창업자가 창업을 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곳으로 전략적 리포지셔닝을 하고 교육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부산시는 청년이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창업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 대학과 부산시가 함께 노력해야 청년이 살기 좋은, 균형성장이 가능한 부산이 될 수 있다.
‘청년이 창업하기 좋은 부산’. ‘Busan is Good for Startup’이 되길 희망한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