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 미국 요구 사실일 땐 ‘미·중 시장 택일기로’

이재덕 기자 입력 2023. 4. 24. 21:13 수정 2023. 4. 24. 23: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 “미, 중국이 마이크론 제재 않게 경고한 듯”
국내 반도체 업계, FT 보도에 “시장경제에서 비상식적” 불만
미·중 반도체 갈등 사이에 낀 한국 기업들 ‘새우등’ 터질 우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에 맞서 중국이 미국 마이크론의 메모리 제품에 대한 보안 심사에 나선 가운데 삼성전자 등 국내 업체들이 미·중 반도체 갈등의 한복판에 내몰릴 처지에 놓였다.

중국이 마이크론의 메모리 판매를 금지할 경우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메모리가 그 공백을 메우지 않도록 미국이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는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와 관련, 국내 반도체업계는 “시장경제를 말하는 미국에서 전혀 상식적이지 않은 얘기가 나왔다”며 불만을 내비쳤다.

24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은 중국에서 D램, 낸드, 이미지센서(CMOS) 등을 판매하고 있다. 오포·비보·샤오미 같은 휴대폰 제조사와 롱시스 등 서버용 저장장치 제조업체를 고객사로 두고 있다.

세계 D램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3사의 과점 체제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한다.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공장, 충칭 후공정 공장, 인텔로부터 인수한 다롄 낸드 공장을 갖고 있다.

현재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마이크론이 중국 시장에 판매한 제품이 중국 내 핵심 정보기술(IT) 인프라의 공급망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며 보안 심사를 진행 중이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에 따른 일종의 ‘보복’으로, 최대 ‘판매금지’ 처분까지 나올 가능성이 있다.

중국 정부가 마이크론을 타깃으로 한 것은 마이크론의 D램이 없어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통해 이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도체업계에서도 마이크론 제재로 삼성과 SK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이번 FT 보도가 맞는 것이라면 중국은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고려해야 할 처지가 됐다. 삼성과 SK가 마이크론 공급분을 메우지 않을 경우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D램을 구하지 못해 제품 공급에 차질이 생긴다.

중국 최대의 D램 제조업체인 창신메모리(CXMT)가 일부 물량을 대체할 수는 있지만 이 업체의 주력 제품은 모바일 기기에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한 세대 전 제품인 ‘LPDDR4X D램’이다.

양국의 ‘반도체 갈등’ 속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도 미국과 중국 중 한 국가를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놓였다. 스마트폰·PC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에 들어가는 메모리 제품의 공급을 중국 시장에 한해 제한하는 건 명분도 없을뿐더러 중국과 척을 지겠다는 뜻으로 읽힐 수 있다. 게다가 중국 전자업계의 메모리 수급난 때문에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공급 부족·가격 상승이 이어지면 전 세계 시장이 혼란에 빠질 수도 있다.

국내 기업들이 미국의 요청에 ‘모르쇠’로 일관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미국은 첨단 반도체 장비에 대한 중국 수출을 제한하면서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한해서는 1년간 유예 조치를 내렸다.

중국 공장 문을 닫을 수 없는 삼성과 SK로서는 올해 또다시 유예 조치를 받아야 한다. 다른 업체 관계자는 “미국이 삼성과 SK의 ‘목줄’을 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마이크론을 제재하지 못하도록 미국이 FT를 이용해 먼저 ‘견제구’를 날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이 강 대 강으로 가면 서로가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면서 “이런 상황을 미국도 알기 때문에 마이크론을 제재하려는 중국에 경고하려는 수준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재덕 기자 du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