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진주] 형평운동 100년…“공정과 상식, 여전히 필요한 가치”

박기원 2023. 4. 24. 19:5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창원] [앵커]

내일(25일)은 진주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신분 해방 운동인 형평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이 되는 날입니다.

KBS는 오늘(24일)과 내일(25일) 두 차례 걸쳐 형평운동의 역사와 의미를 짚어보는 기획 보도를 마련했는데요.

먼저 인권과 평등의 가치를 내세운 형평 정신이 오늘날에도 필요한 이유를, 박기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100년 전 진주성 밖에 살았던 백정들.

개천가인 서장대 아래 나불천과 옥봉마을이 집단 거주지였습니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신분제가 붕괴됐지만, 차별과 편견은 여전했습니다.

교육은 물론 종교 활동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조헌국/진주교회 장로 : "백정들은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았으니까. 같이 예배는 드릴 수 없다는 것이 그 당시 분위기였고, 선교사님들은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1923년 4월 25일, 진주 청년회관에서 창립한 '형평사'는 모두가 저울처럼 평등한 사회를 꿈꾸며 만든 단체입니다.

계급을 타파하고, 모욕적인 칭호를 없애 인간다운 삶을 살자는 구호 아래 사회 운동가와 백정 등 80여 명이 모였습니다.

이후 신분 해방 운동은 들불처럼 번졌고, 전국 160여 곳에 지사와 분사가 만들어졌습니다.

형평사의 최대 성과는 사람은 모두 평등한 존재라는 인식을 널리 알렸다는 점입니다.

야학과 강습소 같은 비인가 학교를 세워 교육 기회를 제공했고, 일제강점기 국내 최초 인권, 사회운동 단체로 활동했습니다.

이후 해방과 산업화를 거치며 전통적 신분제는 자취를 감췄지만, 현대 사회에는 또 다른 형태의 차별과 갈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김중섭/경상국립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 "그 차별은 사회가 바뀌면서 또 새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장애인 차별이라든지, 또는 여성 차별이라든지 이런 문제는 예전부터 있었지만, 다시 사람들이 그것은 부당하다라는 인식을 하게 됐죠."]

인권과 평등의 가치를 내세운 형평 정신이 여전히 필요한 이유입니다.

[이곤정/형평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 "현존하는 차별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형평 정신을 되새기고, 실질적 인권 운동 실현을 위해서 소외 받고 외면당하는 사회적 약자들에게 한발 다가가서…."]

백정의 신분 해방 운동에서 보편적 인권 운동으로 100년 동안 이어진 형평 운동, 새로운 차별과 혐오가 우리 곁에 도사리는 현재에도 '공정과 상식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KBS 뉴스 박기원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그래픽:박수홍

진주시, ‘임신 축하금’ 상품권 50만 원 지급

진주시가 '임신 축하금'으로 지역사랑 상품권 50만 원을 지급합니다.

지원 대상은 신청일 이전부터 180일 이상 진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임신부로, 임신 20주 이상부터 출산 전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도 진주시에 180일 이상 주소를 두고, 배우자가 대한민국 국적이면 임신 축하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진주교육대,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열어

진주교육대학교가 오늘(24일) 학교 대강당에서 개교 100주년 기념식을 열었습니다.

기념식은 100주년 기념나무 식재와 진주 시민이 참여한 학술대회, 공로상 수여 등으로 진행됐습니다.

1923년 경남 공립 사범학교로 문을 연 진주교대는 40년 전 지금의 4년제 대학교로 승격됐습니다.

하동군, 산불 초동대응 진화훈련 매주 진행

하동군이 다음 달 15일까지 매주 산불 초동 대응 진화훈련을 합니다.

훈련은 산불 초동 진화와 잔불 제거, 진화 차량 실전 훈련 등으로 진행됩니다.

하동군은 산불 전문예방진화대원 30여 명과 산불감시원 100여 명을 동원해 초기 진화 체계를 만들고, 무인 감시 CCTV 9대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박기원 기자 (pray@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