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韓, 마이크론 빠진 中에 물량 공급 말라"…등 터지는 K반도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한국 정부에 "중국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판매를 늘리지 말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론의 중국 판매가 금지될 때를 가정한 상황이지만 "한국 반도체기업이 미국의 중국 제재에 본격적으로 휩쓸리게 됐다"는 진단이 나온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현지시간) "중국이 미국 마이크론의 반도체 판매를 금지해 반도체가 부족해질 경우 한국 반도체 기업이 그 부족분을 채우는 일이 없게 해달라고 미국 정부가 한국에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FT 보도…삼성·하이닉스 언급
中서 마이크론 판매금지 가능성
韓에 "부족분 메우지 말라" 압박
對中 반도체 제재 동참 요구 나서
분쟁 격화땐 '中사업 통제' 우려
미국이 한국 정부에 “중국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판매를 늘리지 말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론의 중국 판매가 금지될 때를 가정한 상황이지만 “한국 반도체기업이 미국의 중국 제재에 본격적으로 휩쓸리게 됐다”는 진단이 나온다. “더 이상 중국을 돕지 말라”는 미국의 압박이란 분석도 있다. 미·중 패권 다툼에 휘말린 한국 기업은 입장 표명을 자제하며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마이크론 조사’ 中에 美 재반격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현지시간) “중국이 미국 마이크론의 반도체 판매를 금지해 반도체가 부족해질 경우 한국 반도체 기업이 그 부족분을 채우는 일이 없게 해달라고 미국 정부가 한국에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FT는 미국 백악관과 한국 대통령실에 정통한 소식통 4명을 인용,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방문을 준비하는 상황에서 요청받았다”고 전했다.
미국의 요구는 중국이 세계 3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미국 마이크론을 대상으로 지난달 말 ‘안보 심사’에 들어간 데 따른 재반격으로 분석된다. 중국 정부는 마이크론에 대한 심사를 통상적인 감독 조치라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은 자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규제의 맞대응으로 보고 있다.
마이크론의 2022회계연도(2021년 9월~2022년 8월) 중국(홍콩 포함) 매출은 49억7600만달러(약 6조6000억원)다. 마이크론 전체 매출(307억달러)의 16.2%다.
이달 초 중국의 마이크론 조사 소식이 전해졌을 때 글로벌 반도체업계에선 “한국 반도체기업에 긍정적”이란 평가가 나왔다. 마이크론의 중국 판매가 막히는 상황이 됐을 때, 경쟁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현지 매출을 늘릴 수 있을 것이란 전망에서다. 이날 미국 요청이 국내 업계에 전해지면서 분위기는 빠르게 바뀌고 있다.
중국 매출 연 50조…‘사업 통제’ 가능성
국내 산업계의 우려는 미국의 통제가 ‘마이크론 빈자리 채우기’를 금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미·중 분쟁이 격화하면 미국 정부가 한국 반도체기업의 중국 사업을 본격적으로 통제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해지고 있다.
통제가 현실화하면 국내 반도체기업은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반도체기업이 그동안 중국에 투자한 금액은 70조원에 달한다. 중국 시장 내 반도체 매출도 미국에 이어 각 기업의 ‘톱3’ 안에 들어간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중국 반도체 매출(차이나·상하이 법인 합계)은 31조5039억원, SK하이닉스(우시판매·차이나·충칭 법인 합계)는 16조3191억원이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의 전철을 밟을 것이란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미국은 2019년 11월 네덜란드 정부를 압박해 ASML 극자외선(EUV) 노광장비의 중국 수출을 막았다. 대당 가격이 3000억원 수준인 장비 수출이 막힌 이후 ASML의 중국 매출 비중은 2020년 18%에서 지난해 14%로 낮아졌다.
반도체 탈중국 압박 거세질 듯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수년간 이어진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규제로 중국 사업 리스크를 ‘상수’로 안고 있다. 지난해 10월 시작된 미국의 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때문에 최신 공정으로의 업그레이드에 제약을 받는 게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1년 유예’ 조치를 받았지만 국내 기업은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를 사실상 멈춘 상태다.
미국의 추가 규제 관련 외신 보도에 대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모두 “미국의 요청을 듣지 못했다”며 공식 반응을 내지 않고 있다. 내부에선 ‘난감하다’는 반응이 우세하다. 국내 반도체기업들이 ‘탈(脫)중국’ 전략에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황정수/장서우 기자 hjs@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돈복사기 주식'→'무더기 하한가'…개미들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 "일식 끔찍하다" 혹평 일삼던 버핏…최근 日 가서 먹은 음식이
- "교회에 십일조 안 내도 된다"…전두환 손자 '소신 발언'
- "비싼데 뭐하러 위스키 마셔요"…요즘 2030 푹 빠진 한국 술
- "한국이 압도적 1위"…전세계 열광한 '검은 반도체' 뭐길래
- 화상 환자에 '물고기 비늘' 붙여 봤더니…치료 효과 '깜짝'
- 컵라면 전자레인지에 돌렸다가 '대참사'…"용기 꼭 확인하세요"
- 승리, 출소 후 근황…소주병 돌리고 팔꿈치로 치며 '퍼포먼스'
- "평양이 자랑스럽다"…분홍색 투피스 입고 등장한 北 여성
- 페루 전직 대통령 3명, 교도소 동기 됐다…같은 시설 줄줄이 수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