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고립·은둔 청년 10만명 넘어…투자 아끼지 않겠다"(종합)
고립·은둔 극복 응원·지지 분위기 조성…25년 시·구 협력 대응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가 사회와 단절된 채 지내는 고립·운둔 청년들을 세상 밖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나선다. 서울시는 고립·은둔 청년 당사자와 부모 등의 의견을 반영해 '고립·은둔청년 지원 종합대책'을 24일 발표했다.
고립청년이란 정서적 또는 물리적으로 타인과 관계망이 단절됐거나 외로움 등의 이유로 최소 6개월 이상 고립상태인 청년을 말한다. 은둔청년은 집 안에서만 지내며 6개월 이상 사회와 교류를 차단하고, 최근 한 달 내 직업·구직 활동이 없는 청년을 일컫는다.
서울시가 지난 1월 발표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청년 중 고립·은둔 청년 비율은 4.5%(고립 3.3%, 은둔 1.2%)로 이를 서울시 청년인구에 적용하면 최대 12만9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서울시의 대책은 지난 1월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실시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립·은둔 청년의 특성을 반영한 종합계획이다. 청년 개별적 특성에 맞춰 추진방향을 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전략을 구조화해 정책 모델형태로 제시한 점이 특징이다.
시는 고립·은둔 청년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해 발굴하고,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체계적 청년 지원'과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차별이나 무관심 대신 사회적으로 응원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사회적 관심 확산'을 골자로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우선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촘촘한 발굴체계를 구축한다. 가족, 지인, 본인이 청년 몽땅정보통에서 사업 참여를 신청하는 방식 외에도 복지전달체계, 지역사회 네트워크, 온라인 빅데이터 등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또 정책 실효성과 함께 고립‧은둔 청년들이 차별이나 관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로 발을 내딛기 곤란을 겪지 않도록 따뜻한 응원과 지지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 확산도 병행한다.
아울러 고립은둔 청년 정책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내년까지 서울청년센터 내 전담 TF를 구성해 지역사회 대응 인프라를 시범운영하고 비전을 담은 중장기 정책모델 설계 나선다.
2025년까지 지역밀착형 정책모델 개발, 서울청년센터 등을 활용한 지역형 거점 공간 등 지역형 인프라 확충, 민관 정책협의체 구성, 민간역량 강화 및 청년 참여형 커뮤니티 활동 확대로 지역단위 케어 등 전달체계를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오세훈 시장은 고립·은둔 청년들의 현실과 고충을 듣기 위해 이날 오후 고립·은둔청년들의 활동 공간인 '두더집'을 직접 방문해 고립·은둔 청년, 현장 활동가 및 관계자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오 시장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우리 청년들 숫자가 10만이 넘는다"며 "지금까지는 어려운 처지에 있는 청년들을 발굴하는 체계적인 것들이 많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분들이 새롭게 인생을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리는 체계를 만들고 조직을 만들고, 또 프로그램을 만드는 작업이 비로소 시작 단계 정도"라며 "좀 더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서 투자도 하고, 도움을 필요로 하는 분들이 스스로 활로를 개척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리는 것만으로도 굉장히 큰 의미가 있겠다는 판단을 했고, 그런 변화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간담회에 앞서 오 시장은 지난 1월 발표한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사업 운영 성과와 한계점, 일본 및 핀란드 등 국내외 정책사례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는 한편 고립·은둔 청년 당사자와 부모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서울시 고립·은둔 청년의 특성을 반영한 종합대책 수립을 주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번에 시가 발표한 '고립·은둔청년 지원 종합대책'은 구체적으로 △발굴부터 사회복귀까지 원스톱 지원·관리 △고립·은둔에서 벗어나도록 따뜻한 응원 분위기 조성 △2025년부터 지역단위 대응 집행 로드맵 마련 등 3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촘촘한 발굴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고독사 등 복지전달체계 사업 △통반장 등 지역사회 네트워크 △온라인 빅데이터로 도출되는 지역별 위기군 분포 현황 분석 자료 △아동·청소년 사업과 연계한 예방적 차원의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적극 활용해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지인이 상시적인 상담·신청·의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주민센터 복지서비스 신청‧조사‧확인 시 상담 단계에서 고립‧은둔 대상 여부가 감지되면, 사업안내와 연계의뢰가 이뤄진다. 또한 통반장 등 지역사회 내 접점을 활용해 고립‧은둔 청년에게 정책을 안내한다.
고립·은둔을 극복한 청년 당사자들이 그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할 일, 갈 곳, 만날 사람'과 같은 활동 정보 프로그램을 기획해 발굴하는 청년기획단 서포터즈도 구성한다. 특히 고립·은둔 청년의 가족, 친구 등 주변에서 관심을 갖고 활동의 방법을 상시적으로 상담·신청 등이 가능한 상담센터도 운영된다.
고립·은둔 청년이 발굴되면 체계적·과학적 진단을 통해 고립 정도와 은둔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진단이 실시된다. 진단은 △고립 정도와 개인별 상황을 측정하는 설문 △개별 면담(심층 상담) 총 2단계로 이뤄진다.
진단 검사 결과에 따라 고립‧은둔 청년을 3가지 유형(활동형 고립청년, 비활동형 고립청년, 은둔청년)으로 분류해 각각 맞춤형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이 모든 과정에서 서울시와 산하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요 정책들을 연계해 '고립‧은둔 청년 회복 종합 패키지'를 제공한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일 경험, 해외봉사 경험 등 고립·은둔 청년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돕기 위한 추가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일자리 수요조사 결과 및 성향을 반영한 일 경험을 제공한다.
끝으로 시는 사회복귀 이후에도 멘토링 및 사후 모니터링을 활용한 사례관리를 통해 고립과 은둔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도록 사후관리에도 힘쓸 예정이다.
시는 청년들이 고립과 은둔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따뜻한 응원 분위기도 조성한다.
우선 시민들과 고립‧은둔 청년이 함께 걸으며 서로를 응원하는 걷기 행사, 고립‧은둔 청년들의 이야기와 작품(영상, 웹툰 등)을 만나볼 수 있는 전시회 등 다양한 만남의 장을 통해 고립‧은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한다. 고립‧은둔 상태에서 벗어난 청년들의 사회복귀를 환영하고 축하하는 행사도 개최한다.
서울시는 지역사회 대응을 위한 지역 밀착형 인프라도 확충한다.
2024년까지 서울청년센터 내에 전담 TF를 구성해 전문 지원기관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지역사회 대응 인프라를 시범 운영하고, 이후 별도 공간조성에 대해서는 운영 결과에 따른 추가 설치 필요성, 기능 등을 종합하여 결정할 예정이다.
시는 2025년까지 권역별 설치기준과 근거, 운영기능을 마련하는 등 실질적 조성 방안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끝으로 시는 고립·은둔 사업 참여자간 자조모임 지원 등 커뮤니티 활성화와 고립·은둔 극복 등 성공사례를 확산시켜서 고립·은둔 청년 당사자들이 스스로 나올 수 있는 유인책이 되는 선순환 생태계도 조성한다.
jung907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성관계 안한지 몇년"…전현무, 결혼 관련 숏폼 알고리즘 들통
- 홍준표 "이재명에 징역 1년 때린 대단한 법관, 사법부 독립 지켜" 극찬
- 생후 30일 미모가 이정도…박수홍, 딸 전복이 안고 '행복'
- 서점서 쫓겨난 노숙자 부른 직원 "다 못 읽으셨죠? 선물"…20년 후 반전
- "제일 큰 존재"…'사혼' 박영규, 54세 나이차 막둥이 딸 최초 공개
- '이나은 옹호 사과' 곽튜브, 핼쑥해진 외모 자폭 "다른 이유 때문"
- 실종됐다는 5세 아동, 알고 보니 진돗개 숭배 사이비 단체 범행
- 배다해, ♥이장원과 결혼 3주년 자축 "지금처럼만 지내자 여보" [N샷]
- "로또 1등 당첨돼 15억 아파트 샀는데…아내·처형이 다 날렸다"
- "자수합니다"던 김나정, 실제 필로폰 양성 반응→불구속 입건(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