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례시 인구 기준 못 맞출라' 창원시 100만 사수 총력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창원시가 특례시 지위 유지를 위해 인구 100만 명 사수에 나선다.
전국적인 추세 속에서 창원도 피해 가지 못한 출산율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에 따른 지역 인구감소 심각성을 공유하고 전입을 유도하는 범시민 운동을 벌이는 등 인구 문제에 총력 대응한다.
24일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지역 인구는 101만8699명을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합 후 13년간 6만여 명 줄어 '간당'
'숨은 인구 찾기' 시민운동 등 안간힘
경남 창원시가 특례시 지위 유지를 위해 인구 100만 명 사수에 나선다. 전국적인 추세 속에서 창원도 피해 가지 못한 출산율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에 따른 지역 인구감소 심각성을 공유하고 전입을 유도하는 범시민 운동을 벌이는 등 인구 문제에 총력 대응한다.
24일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지역 인구는 101만8699명을 기록했다. 이는 2010년 7월 마산·진해를 아우르는 통합창원시 출범 당시 108만1499명과 비교해 6만2800명이 감소한 수치다. 창원시 인구는 통합 이듬해 109만1881명으로 최고치를 달성한 뒤 매년 준다. 지난달 인구는 등록외국인 1만4749명과 외국 국적 동포 3380명을 포함해도 103만 6404명에 그친다. 이런 추세가 유지된다면 2026년 100만 명 선이 무너질 전망이다.
외국인을 포함한 인구가 2년 연속해 100만 명에 미치지 못하면 그다음 해부터 특례시에서 제외된다. 그렇게 되면 특례시로 지정되면서 확보한 광역시급 행정·재정적 권한도 물거품이 된다.
창원시는 인구 감소 원인으로 지역 제조업 침체로 인한 일자리 감소,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인한 김해시 등 인근 도시로의 전출 등을 꼽았다. 청년 인구 유출도 거론된다.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인구는 2010년 30만6121명에 달했지만 지난달 무려 12만110명이 줄어든 18만6011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창원시는 지난달 17일부터 ‘구석구석 숨은 인구 주소 찾기’ 범시민 운동을 벌인다. 전 부서가 관계 기관, 기업, 대학 등을 방문해 인구 감소 상황을 공유하고, 시에 주소를 두지 않은 근로자, 학생, 시민 등을 찾아 분야별 혜택 등을 알리며 전입을 독려한다. 그 성과로 지난 14일까지 총 902명이 전입했다.
주요 전입 혜택으로 시는 다른 시·군에서 1년 이상 주민등록돼 있던 대학생·대학원생이 창원시로 전입해 주소를 유지하면 월 6만 원씩 최대 3년간 지원한다. 기업 노동자도 전입 후 6개월 이상 거주하면 최초 지원금 20만 원(2021년도 이후 전입자)에다 1년간 월 3만 원을 추가 지원한다.
이 외에도 전세보증금이 1억5000만 원 이하인 임차인 등에게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료를 지원하고 출산축하금으로 첫째아 50만 원, 둘째아 이상 200만 원을 지급하는 등 다양한 인구 부양책을 추진한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신산업 육성으로 혁신 성장의 기반을 다지고 의대 유치·국제학교 설립 등 특례시 위상에 어울리는 도시 품격을 갖춰 인구가 몰려드는 창원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앞서 창원시는 지난해 1월 3일 경기 수원·고양·용인시와 함께 특례시로 출범한 바 있다. 창원시는 광역시 수준으로 사회복지 급여 기본재산액 기준이 상향돼 1만634명이 연간 149억 원의 복지급여 혜택을 누린다. 또 소방안전교부세가 50% 이상 증액돼 5년간 100억 원의 재정을 추가로 확보했다. 오는 27일부터는 산지 전용 허가 등 경남도 업무 10건·144개 단위 사무가 이관될 예정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