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압박에 전기차 사업 접는 중국 화웨이

강현철 2023. 4. 24. 14: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화웨이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런정페이가 사실상 전기자동차 사업의 중단을 선언했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이 24일 중국 최대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의 런정페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전기자동차 사업에 제동을 걸었다고 보도했다.

화웨이에서 전기차 사업은 위청둥 화웨이 클라우드·인텔리전트 차량 솔루션·소비자 부문 최고경영자(CEO)가 주도해왔으나, 앞으로 방향 전환이 불가피해졌다고 이 매체는 덧붙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런정페이 中화웨이 창업자, 전기차 사업 중단 선언"
2022년 CATL·창안자동차와 전기차 '아바타11' 출시
미국 제재로 첨단 전기차용 SW 공급 어려워져
화웨이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런정페이. 연합뉴스
연합뉴스

화웨이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런정페이가 사실상 전기자동차 사업의 중단을 선언했다. 미국 정부의 거센 압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중단 선언의 배경이 주목된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이 24일 중국 최대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의 런정페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전기자동차 사업에 제동을 걸었다고 보도했다.

런정페이 CEO는 지난달 31일 사내 인트라넷에 화웨이가 자동차를 생산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의 결의안을 게재했다. 이 결의안은 현재 생산 중인 전기차에 화웨이 로고 사용을 허용하지 않으며, 이런 불허 조치는 5년간 유효하다고 명시했다.

화웨이의 순번 회장을 맡고 있는 쉬즈쥔 회장도 같은 날 열린 회의에서 "30년 이상 구축한 화웨이의 브랜드가 마음대로 남용돼선 안된다"고 비판했다고 차이신은 전했다.

화웨이에서 전기차 사업은 위청둥 화웨이 클라우드·인텔리전트 차량 솔루션·소비자 부문 최고경영자(CEO)가 주도해왔으나, 앞으로 방향 전환이 불가피해졌다고 이 매체는 덧붙였다.

화웨이는 2019년 4월 상하이 오토쇼에서 쉬즈쥔 회장이 자동차 사업 진출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화웨이는 2022년 8월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 CATL(닝더스다이·寧德時代), 국영 완성차업체 창안자동차 등과 힘을 합쳐 전기차 '아바타11'을 출시했다.

화웨이가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자율주행 시스템 같은 소프트웨어를, CATL이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를, 창안자동차가 자동차 설계·생산을 각각 맡았다. 각 분야의 중국 내 최고 기업 3곳이 합작한 브랜드였다. 이에 따라 당시 중국 내 전기차 1위 기업 비야디(BYD)는 물론 상하이GM우링자동차(SGMW), 테슬라, 지리자동차, 체리자동차, 광저우자동차그룹(GAC) 산하 아이온, 창안자동차, 샤오펑자동차 등의 강력한 대항마로 꼽혔다.

화웨이가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정보기술(IT) 기업이라는 점에서, 아바타11은 중국의 전기차 기업들을 긴장시키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그 시기에 화웨이의 전기차 사업은 시련에 맞닥뜨렸다고 차이신은 전했다.

미국이 화웨이가 각국 통신망에 '백도어'(인증을 받지 않고 망에 침투할 수 있는 수단)를 심어 기밀 정보를 빼낸다고 보고, 2019년 5월부터 5세대 이동통신(5G) 반도체 칩 수출을 금지한 데 이어 4G 관련 제품 수출도 금지했기 때문이다. 화웨이가 최고 수준의 전기차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몰린 것이다.

이 때문인지 올해 초 화웨이가 중소 전기차 업체인 장화이와 협력해 차세대 전기차를 공동 개발한다는 발표가 나왔으나, 얼마 되지 않아 이 계획은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화웨이의 전기차 사업 시련은 중국 당국이 신에너지차(전기·하이브리드·수소차) 산업을 육성하고 소비를 촉진할 목적으로 2017년부터 지급해오던 신에너지차 구매 보조금을 올해부터 전격 중단한 것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강현철기자 hckang@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