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생산 중단 · 철수 속 러시아 우리 · 하나은행 실적 급증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현지 진출 국내 제조업 기업들이 생산 중단을 결정하거나 철수를 고려하고 있지만 금융업체들은 오히려 실적이 급증하는 상황이 벌어져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전쟁 장기화에 대응해 러시아 현지법인의 자산 확충보다는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서 "현재 한국계 기업 금융 지원을 위해 법인을 유지 중이며, 향후 상황 급변 시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현지 진출 국내 제조업 기업들이 생산 중단을 결정하거나 철수를 고려하고 있지만 금융업체들은 오히려 실적이 급증하는 상황이 벌어져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
오늘(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러시아법인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360억 원, 당기순이익은 120억 원으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이는 2021년의 각각 130억 원, 50억 원과 비교하면 각각 176%와 140% 늘어난 수준입니다.
우리은행 러시아법인의 총자산은 2021년 말 기준 5천220억 원에서 지난해 말 7천860억 원으로 50% 이상 증가했습니다.
러시아법인의 실적이 늘어난 것은 우리은행뿐만이 아닙니다.
하나은행 러시아법인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63억 원으로 전년(63억 원) 대비 158% 늘어났고, 당기순이익은 139억 원으로 2021년(56억 원)과 비교하면 148% 증가했습니다.
총자산은 같은 기간 7천256억 원에서 1조 2천81억 원으로 6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은행은 국내은행 중 가장 먼저 지난 2008년 1월 러시아법인을 설립했습니다.
한국계 기업과 주재원, 교민은 물론 일부 현지인과 기업을 대상으로 영업을 펼쳐왔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2곳에 지점을, 블라디보스토크에 사무소 1곳을 각각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나은행은 금융 글로벌화 및 러시아 현지 진출 한국계 기업의 금융지원 등을 목적으로 2014년 9월 러시아법인의 문을 열었습니다.
당초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러시아법인은 자동차와 전자 등 국내 기업들의 현지 진출 확대에 따른 효과를 누릴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들이 러시아 현지 생산을 중단하고 철수를 검토하는 데다, 국제사회가 대러시아 금융제재에 돌입하면서 은행들도 영업에 차질을 빚었습니다.
러시아에서 법인 인가나 금융업 승인을 받기 매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면 쉽게 현지법인의 문을 닫을 수도 없었습니다.
우려가 커졌지만 정작 지난해 실적을 집계한 결과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러시아법인 모두 외형과 수익이 모두 급증하는 이례적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 은행들이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자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러시아법인에 한국계 기업 등을 중심으로 자금이 몰렸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대폭 인상, 은행들의 운용수익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러시아의 기준금리는 2021년 하반기부터 상승하기 시작해 지난해 2월 20% 수준까지 올랐다가 현재 7%대를 유지 중입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운용수익 증가, 예수금 유치 경쟁력 강화 등으로 이자 이익이 늘어났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현지법인 실적 증가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이들 은행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우크라이나에 군사적 지원 가능성을 시사한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러시아가 강하게 반발하면서 러시아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의 긴장감도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전쟁 장기화에 대응해 러시아 현지법인의 자산 확충보다는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서 "현재 한국계 기업 금융 지원을 위해 법인을 유지 중이며, 향후 상황 급변 시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은행 해외법인 설립 취지가 현지 진출한 국내기업이나 주재원, 교민, 학생들의 금융지원에 있는데 은행이 먼저 철수하면 이러한 취지를 저버리게 된다"면서 "상황이 악화하더라도 은행은 가장 마지막까지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강인, 승리의 설계자"…한국인 최초 라리가 멀티골
- '미우새' 아이키 "이른 결혼은 유전?…엄마와 18살 차이"
- 11명 숨지게 한 '괴물 폭염'…"그 더위, 한국도 덮친다"
- "변기에 앉으세요" 뻔한 안내문?…공항 직원들은 곤혹
- '애망빙' 한그릇에 12만 6,000원…호텔서 줄서서 먹는다
- '집사부일체2' 원년 멤버들 "219명의 사부님들 중 '괴짜사부' 전인권 사부 기억에 남아"
- 음주뺑소니 뒤 현장 와선 태연히 봤다…피해자 의식불명
- 국내 사망 원인 2위 심부전…위기 신호 놓치지 않으려면 [건강라이프]
- 맨손이던 김정은 경호원들…그날 이후 검은 가방 들었다
- "빌라 전세는 무서워요" 새 세입자 안 온다…악순환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