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 뒤 군벌 간 ‘권력다툼’···외세 개입에 대리전 우려 [뒷북글로벌]
■수단 내전의 배경과 각국 이해관계
2019년 알바시르 축출 성공 후
알부르한·다갈로 간 알력 발생
충돌 이후 사상자 최소 4000명
홍해 둘러싼 지정학적 위치 등
주변국 정치·경제적 이해 얽혀
러시아 등 반군 지원 정황도 포착
수단 군부 세력 간의 유혈 충돌이 격화하는 가운데 양측과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주변국들이 군사 지원 등 개입에 나서면서 사태가 대리전 양상으로 치닫는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분쟁이 1주일째 지속되면서 수단에서는 민간인을 포함해 4000명에 이르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휴전 합의에도 교전이 이어지자 세계 각국은 대사관을 철수하고 자국민 탈출을 위해 육해와 해로로 운송 수단을 급파하는 등 긴급 지원에 나서고 있다.
◇쿠데타 성공 이후 군벌 세력 내전 돌입=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22일(현지 시간) 수단 정부군과 이에 반발하는 군부 세력 간 무력 충돌이 사흘간(21~23일)의 휴전 합의에도 불구하고 산발적인 교전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달 15일 시작된 수단 내전은 현 정부군 지도자인 알델 파타 알부르한 장군과 반군 준군사조직인 신속지원군(RSF)을 이끄는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 사령관 간 권력 다툼에서 촉발됐다. 정부군과 RSF는 2019년 함께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30년 독재자인 오마르 알바시르 전 대통령을 축출하고 새 정권을 수립했다. 이후 민정 이양을 위한 과도 정부를 무너뜨리고 정권을 잡는 데까지 뜻을 모았던 알부르한 장군과 다갈로 사령은 RSF의 정규군 통합안, 군 지휘 체계 문제 등을 두고 충돌하기 시작했다. 알부르한 장군이 군 편제로 RSF 견제를 시도한 뒤 다갈로 사령관이 일으킨 반란이 전국적인 유혈 사태로 이어졌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15일부터 21일까지 수단에서 413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최소 4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해관계로 얽힌 주변국들의 개입=군벌 간 알력으로 비롯된 내전에 두 세력과 밀착한 주변국들의 개입이 이어지자 사태가 외세 대리전으로 격화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수단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7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특히 홍해를 둘러싼 전략적 위치, 나일강에 대한 접근성, 막대한 금 매장량 등으로 주변국들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가 수단 정부 세력과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분석이다.
RSF는 리비아와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리비아 동부를 장악한 군벌 수장 칼리파 하프타르가 17일 탄약을 포함한 군사 물자를 실은 비행기 최소 한 대를 RSF에 보냈다”고 보도했다. RSF는 리비아 내전 당시 하프타르에게 병력 1000명을 지원한 바 있다. 이어 20일에는 러시아 용병단 바그너그룹이 RSF에 지대공미사일을 공급한 정황이 포착됐다. 러시아는 바그너그룹을 통해 다갈로 사령관과 결탁한 뒤 수단의 금광채굴권을 확보해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얻고 있다고 전해진다. RSF 측은 리비아와 러시아의 지원 사실을 부인했다. 아랍에미리트(UAE) 역시 공개적으로는 수단 내전에 대해 중립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뉴욕타임스(NYT)는 “UAE가 수 년간 RSF 지도자인 다갈로 장군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고 전했다.
한편 알부르한 장군과 친밀한 관계를 이어온 이집트는 정부군 측에 전투기와 조종사를 지원하고 있다. 나일강을 두고 에티오피아와 대립 중인 이집트로서는 두 국가 사이에 위치한 수단과의 연대가 중요하다. 뉴욕타임스(NYT)는 “외세는 나일강·홍해에 대한 전략적 위치를 갖춘 아프리카에서 세 번째로 큰 국가이자 막대한 광물 자원과 농업 잠재력을 가진 수단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각국, 자국민 대피 작전 착수=수단 내 무력 충돌이 격화하며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세계 각국은 자국민 대피를 위한 작전에 긴급 착수했다. 수단 정부군과 군벌은 3일간의 휴전을 약속한 뒤 일부 공항을 열겠다고 밝혔다. 이에 23일 미국 정부는 헬기를 띄워 수단에서 외교관과 그 가족 등 70명을 전원 철수시켰으며, 수단 주재 미국대사관을 폐쇄하고 업무를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프랑스 정부 역시 외교부 성명에서 신속 작전으로 자국민과 외교관의 대피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유럽과 동맹국 국민과 지원 대상이라고 밝혔다. 앞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역시 자국민 157명을 사우디아라비아 서부 제다로 철수시켰다. 사우디아라비아 외무부는 자국민 91명 이외에 쿠웨이트·카타르·UAE·이집트·인도·필리핀·캐나다 등 12개국 국민 66명이 제다에 안전하게 도착했다고 전했다. 튀르키예 역시 육상 작전을 통해 자국민과 외국인들을 대피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영국·일본 등도 자국민 대피를 위해 지부티 등 인근 국가에 군용기를 대기시킨 상태다.
정혜진 기자 sunset@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명 살리고 떠난 아기천사…“엄마 지켜준다 했는데” 가족 눈물
- 볼트보다 빨랐다…마라톤 입상자 망신당한 '반전 비밀'
- 검단 집값 바닥 다졌나…속속 반등 거래
- “무릎꿇어”…음주 단속하자 경찰관에 행패 부린 공무원
- '아이 2명 낳으면 세금 0원' 파격적 저출산 대책 검토한 이 나라
- ‘자비스’ 떠오르는 챗GPT의 진화…개발자들 놀래킨 '오토GPT' 등장
- 요즘 핫플 가면 '이 가게' 꼭 있다…식료품점의 힙한 진화 [지구용]
- 태극기·성조기 함께 내걸린 워싱턴…尹 국빈방미 준비 마무리
- 아스트로 문빈 발인식…가족·아스트로 동료들만 참석
- '또래보다 늙은 60대, 사망률 4.4배나 높아' [헬시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