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어린이 밥먹는 습관’ 키우고 ‘쌀가공식품 수출’ 늘리고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 확대
초등생 곡물체험학교 등 운영
고품질 품종 개발·보급 추진
세계 글루텐프리 시장 공략도
최근 쌀시장을 강타한 논란거리는 쌀 공급이다. 남는 쌀 의무매입 조건을 두고 정쟁이 일었던 ‘양곡관리법 개정안’과 정부의 쌀 적정생산 대책 모두 쌀 공급과잉 문제에 초점을 뒀다. 그러는 사이 쌀 수요는 점점 쪼그라들었다. 우리 국민 한명이 1년간 소비하는 쌀은 한가마(80㎏)에 크게 못미치는 56.7㎏. 하루로 치면 밥 한공기 반만 먹는다. 이런 상황에서 매년 쌀 20만t가량이 초과 생산된다. 적정량의 쌀을 생산하는 것 못지않게 소비 확대가 절실한 지금, 정부가 추진하는 쌀 소비촉진 방안을 살펴본다.
◆세분화된 쌀 소비시장 맞춤형 공략=예전처럼 국민 누구나 한마음으로 ‘밥심’을 외치던 시대는 갔다. 이제는 쌀을 먹게 하려면 다양한 양상을 띠는 쌀 소비시장을 세분화하고 맞춤형 소비촉진 정책을 펼쳐야 할 때다. 정부 역시 이같은 전략을 구상한다.
우선 중장년층에 비해 쌀을 멀리하는 청년과 어린이를 타깃으로 정책을 펼친다. 청년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정책이 ‘천원의 아침밥’사업이다. 최근 식비 부담을 느끼는 대학생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은 이 사업은 2017년 쌀 소비촉진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정부는 3월 올해 사업예산을 두배로 늘리는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사업을 모든 대학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식습관 형성 교육이 중요한 어린이를 위해선 초등학생 교과과정과 연계한 곡물체험학교, 쌀 정보를 제공하고 쌀요리 만들기 체험을 즐길 수 있는 쌀 체험관 ‘식량정보센터’를 어린이 직업체험관 ‘키자니아’ 안에서 운영한다.
김보람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산업과장은 “천원의 아침밥은 대학과 함께 사업에 참여하려는 지방자치단체들을 위해 추가 모집기한을 14일에서 28일로 연장했고, 20일 기준 기존 신청 대학을 포함해 136개 대학이 신청했다”며 “천원의 아침밥사업은 쌀 소비 확대뿐 아니라 학생들의 아침밥 먹는 습관을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점차 증가하는 1∼2인 가구의 기호에 맞춰 5㎏ 이하 소포장 쌀 유통시장을 확대하는 데도 주력한다. 이와 관련해 ‘마켓컬리’ 등 온라인 시장과 미곡종합처리장(RPC)을 연계해 갓 도정한 쌀을 2주 간격으로 정기배송하는 구독 서비스, RPC와 편의점간 업무협약을 통한 편의점 내 소포장 쌀 매대 확충과 판촉행사 등을 추진한다.
◆쌀·쌀가공식품 고급화·다양화=소비자의 입맛 변화에 발맞춰 더 고급스럽고 다채로운 쌀·쌀가공식품을 육성하는 데도 심혈을 기울일 계획이다. 수량성보다 밥맛이 좋은 고품질 쌀 품종을 개발·보급하고 생산을 확대하는 것도 그 일환이다. 박재현 밥소믈리에는 “예전에 밥알이 크고 수량성이 높은 품종이 인기였다면 요즘은 <골든퀸3호>처럼 찰기와 식감이 좋고 구수한 누룽지향이 나는 향미를 찾는 소비자가 많다”고 설명했다.
쌀가공식품은 쌀에 비해 더 큰 소비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분야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내리막길을 걷는 반면 연간 가공용 쌀 소비량(주정 제외)은 2020년 49만2000t, 2021년 52만7000t, 2022년 57만t으로 증가했다. 쌀가공식품 수출액 역시 2020년 1억3800만달러, 2021년 1억6400만달러, 2022년 1억8200만달러로 상승 가도를 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전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글루텐프리 식품시장을 타깃으로 쌀가공식품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수입 밀 대신 활용할 수 있는 가루쌀(분질미)에 대해선 제분·식품 기업과 협력해 2025년까지 가공식품 50개를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2023년 쌀가공품 품평회’를 통해 대표 쌀가공품을 선정하고, 유통·판로 등을 지원해 고급화와 경쟁력 향상을 도모한다. 또 가정간편식(미국), 쌀과자·이유식(중국), 막걸리·떡볶이(일본) 등 국가별 수출 유망품목을 육성하는 한편 식품인증·마케팅을 지원해 2027년까지 쌀가공식품 수출액을 3억달러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도 세웠다.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은 “쌀의 소비 감소폭을 줄이고 새로운 수요처를 찾는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올해 집중 육성하는 가루쌀의 소비 기반을 확대하고 냉동밥·도시락 등 소비가 늘어난 쌀가공식품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