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본지 오래야” 흉년 걱정에 직접 붓 들고 인공수분도

김인수 기자 2023. 4. 23. 20: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꿀벌이 대거 폐사하면서 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농가는 정부가 꿀벌 폐사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요구한다.

양봉농가는 지난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월동 꿀벌 폐사 피해가 심각하다고 호소한다.

경남 합천군에서도 양봉농가 417호가 기르는 꿀벌 2만5968군(통) 가운데 75%가 실종되거나 폐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꿀벌 폐사에 농가 울상

- 합천 75%·창원 73% 폐사 피해
- 사과·수박 등 생산량 감소 불보듯
- 올해 냉해 피해까지 겹쳐 초비상
- 지자체 지원은 단기책 그쳐 한계
- 부산시 “선도농가 기술 공유 모색”

꿀벌이 대거 폐사하면서 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과일 농사가 잘되려면 꿀벌과 같은 곤충의 매개 활동이 활발해야 하나 이들의 숫자가 급격히 줄어들면 과일 수확량도 감소하기 때문이다. 특히 농가는 정부가 꿀벌 폐사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요구한다.

지난 21일 경남 거창군 마리면 대동리에서 사과 농장을 운영하는 김영철 씨가 사과나무에 인공수분을 하고 있다. 최근 꿀벌 개체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과수 농가에서 과일 수확량 감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김인수 기자 iskim@kookje.co.kr


지난 21일 경남 거창군 마리면 대동리 사과 농장. 1만3200㎡(4000평) 규모의 농장에서 사과를 재배하는 김영철(72) 씨는 사과나무에 인공수분을 하며 한숨을 쉬었다. 이맘때면 사과나무에 꿀벌들이 꽃가루를 나르느라 분주해야 하는데 벌 구경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김 씨는 “꿀벌이 움직여야 가을에 좋은 사과를 수확하는데 벌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며 “올해는 저온 냉해까지 겹쳐 사과 생산에 큰 차질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진주시 정촌면에서 수박 농사를 짓는 김연일(63) 씨는 “수박 수정을 하는 벌이 비닐하우스에서 활발히 활동해야 하는데 올해는 벌이 없어 벌통을 대여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 꿀벌을 구하지 못하면 생산량이 평소보다 30%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김해에서 딸기 농사를 짓는 김성곤 씨는 “올해 6동 3960㎡(1200평)의 비닐하우스 딸기 농사를 짓는데, 벌이 많이 죽은 데다 벌통 임대비도 크게 올라 어려움이 많다”며 “지난해는 자재비 등을 빼고 동당 500만~600만 원이 남았지만 올해는 남는 것이 없다”고 울상을 지었다.

양봉농가는 지난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월동 꿀벌 폐사 피해가 심각하다고 호소한다. 부산시에 따르면 지역 내 양봉 농가 110호(1만2000군) 가운데 80%가 폐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남 합천군에서도 양봉농가 417호가 기르는 꿀벌 2만5968군(통) 가운데 75%가 실종되거나 폐사했다. 창원시도 179호 농가 가운데 163호가 사육하는 2만6539군 중 73%가 폐사했다. 김해시 역시 지난해 10월부터 지금까지 양봉 농가 161호(1만2089군) 중 53%인 86호(1만83군)가 피해 신고를 했으며, 전체의 70% 이상이 폐사한 것으로 파악했다. 대한양봉협회 김해시분회 권영조 지부장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월동 기간에 꿀벌 50%가 죽었다”며 “과수 농가에 작물 수정용으로 빌려주는 렌탈비도 벌통 1군당 12만 원에서 20만 원 선으로 올랐고, 양봉 농사를 위해 구입하는 것도 20만 원하던 것이 45만 원으로 올랐다”고 말했다.

농가에서는 꿀벌 폐사 원인으로 예상치 못한 이상 기후로 꿀벌이 영향을 받은 데다, 꿀벌응애(진드기류)의 내성 강화, 농약 살포 등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것은 정보 공유와 인공수분 지원비 등 단기책에 그쳐 농가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한국양봉협회 성둘련 합천군지부장은 “지자체 지원이 있긴 하나 정부 차원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꿀벌 연구 연합체’를 결성한 부산시 관계자는 “정부의 대책이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우선 농가의 목소리를 들으며 전문가의 진단과 대책 마련 등을 신속히 하고, 선도 농가의 노하우를 공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