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검증] 삼각김밥에 컵라면‥'천 원의 아침밥'도 빈부 격차

남효정 2023. 4. 21. 20: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기자 ▶

뉴스의 현장에서 사실을 확인하는 '현장검증'입니다.

대학생들이 천 원만 내면 아침 식사를 할 수 있는 '천원의 아침밥'이 요즘 화제죠.

지난해 28개였던 참여 학교가 올해는 41개로 늘어났습니다.

반응이 좋으면서 얼마 전엔 여야 대표가 앞다퉈 대학에서 밥을 먹으며 서로가 정책의 원조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같은 천 원이지만 밥상에 오르는 음식은 학교마다 차이가 크다고 하는데요.

현장에서 검증해 봤습니다.

◀ 리포트 ▶

아침 8시, 서울의 한 유명 사립대학 학생식당을 찾아갔습니다.

잡곡밥에 미역국, 미트볼에 각종 나물 무침 등.

식판 가득 푸짐한 아침 식사가 단돈 1천 원입니다.

[정현수/대학생] "1천 원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퀄리티(품질)도 되게 괜찮고, 점심때까지는 그래도 든든해서."

식빵과 잼 등 후식까지.

시간만 맞춰 오면 양도, 인원도 제한이 없습니다.

[이상준/대학생] "자율 배식이라서 거의 한 1만 원어치는 먹을 수 있더라고요. 제육볶음 그때는 사실 이 국그릇 있잖아요. 여기다가 이걸 그냥 담아서 먹었거든요."

똑같이 1천 원의 아침밥을 시행 중인 전북의 한 대학교를 찾아갔습니다.

학생들을 따라갔더니 도착한 곳은 식당이 아닌 편의점.

천 원을 내자 삼각김밥 하나에 컵라면 하나를 줍니다.

[양민식/대학생] <항상 라면과 삼각김밥이 나와요?> "네. 항상 그렇게 나와요." <이렇게 먹고 나면 몇 시까지 배가 안 고파요?> "그래도 한 11시, 12시까지는 참을 만한 것 같아요."

1천 원에 이 정도 나오는 것도 감사하지만 푸짐한 식사가 나오는 학교가 부러운 건 어쩔 수 없습니다.

[이승건/대학생] "저희 학교 빼고 다 일반식 제공하더라고요, 국립대는."

[안채은/대학생] "진짜요? 전 다 컵라면 주는 줄 알았는데, 밥을 주는 거예요? 진짜 밥? 맛있겠다."

이마저도 하루 70개 한정이라 조금만 늦어도 빈손으로 발길을 돌립니다.

[황인수/대학생] "다 소진됐다고 그래서‥배가 고파서 밥을 먹고 싶었는데 그냥 수업 가야 될 것 같습니다."

전남의 한 대학교도 편의점에서 김밥 한 줄에 음료수 하나를 주고 있습니다.

학생식당은 운영 업체가 수익이 나지 않는다며 문을 닫아, 학생들은 김밥을 들고 먹을 곳을 찾아다닙니다.

[주태양/대학생] "사람들 그냥 지나가고 하니까 좀 먹을 때 부끄럽다고 해야 되나."

'천 원의 아침밥'이 없는 학교보다는 낫지만 상대적인 박탈감이 들기도 합니다.

[신태준/대학생] "그분들도 1천 원 내고 먹는 거고, 저희도 1천 원 내고 먹는 건데, 저희도 좀 좋았으면 좋을 것 같아요."

같은 '천 원의 아침밥'인데도 이렇게 학교별로 큰 차이가 나는 이유는 뭘까.

정부가 지난 2017년부터 시작한 이 사업의 지원금은 대상 학생 한 명당 1천 원.

일반 식사 준비에 재료비와 인건비 등으로 5,6천 원은 드는데, 지원금과 학생이 내는 1천 원씩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학교가 부담해야 합니다.

동문회와 기업 기부금이 충분한 일부 유명 사립대들은 여유가 있지만, 재정난에 시달리는 지방대들에게는 큰 부담입니다.

[지방 A대학 관계자('천 원의 아침밥' 운영 중)] "정부에서는 1천 원 주고 학교에서는 3, 4천 원 이상을 부담해야 되거든요. 인심은 자기네들이 쓰는 거고, 사립대학들은 엄청난 재정적인 데미지(손해)를 입으면서 이 사업을 안 할 수가 없는‥"

결국,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포기하는 대학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수도권 B대학 관계자('천 원의 아침밥' 중단)] "학교에서 부담하는 거잖아요. 단가가 4, 5천 원일 경우에 이게 연 2, 3천만 원 정도씩 계속 적자가 발생하는 거죠. 이 상태로 계속하는 게 맞나‥"

일부 지자체들이 추가 지원금 지급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것 역시 지역 여건에 따라 격차가 생길 수밖에 없는 상황.

좋은 취지가 빛이 나려면, 재원 마련 통로를 확대하거나, 대학 여건에 따라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는 등의 보완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현장검증, 남효정입니다.

영상취재 : 한지은 / 영상편집 : 이화영 / 자료조사 : 박경민, 이연수, 김세연, 이수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 한지은 / 영상편집 : 이화영

남효정 기자(hjhj@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76481_36199.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