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절반 "가해자 누군지도 모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36%가량은 10대와 20대였다.
또, 피해자 2명 중 1명은 가해자가 누군지도 알 수 없는 경우였다.
최근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디지털 성범죄피해자 지원센터를 통해 상담 등의 지원을 받은 피해자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모두 7979명이 센터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와 가해자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절반가량(48.3%)은 '가해자가 누구인지 전혀 알 수 없는 경우'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36%가량은 10대와 20대였다. 또, 피해자 2명 중 1명은 가해자가 누군지도 알 수 없는 경우였다.
최근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디지털 성범죄피해자 지원센터를 통해 상담 등의 지원을 받은 피해자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모두 7979명이 센터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약 14.8% 증가한 규모다. 2018년 4월 설치된 지원센터는 피해 촬영물 삭제를 지원하고 수사·법률·의료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관이다.
피해자를 연령별로 보면 10대(18.0%)와 20대(18.0%)가 전체의 36.0%를 차지했다. 나이를 밝히지 않은 피해자가 절반(53.3%)인 점을 고려하면 20대 이하 비중은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가부는 이에 대해 20일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일상화돼 있는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피해자와 가해자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절반가량(48.3%)은 ‘가해자가 누구인지 전혀 알 수 없는 경우’로 나타났다. 일시적 관계는 28.8%였고. 이어, 가해자를 특정했지만 ‘모르는 사람’인 경우가 9.1%였다.
피해자는 대부분 불법으로 촬영된 영상물이 유포될까 불안해하는 사례가 대다수였다. 지난해 실제 유포 피해를 본 경우는 19.5%(2481건)였고, 유포 협박이나 불안을 느낀 경우는 각각 18.0%, 30.1%로 나타났다. 지원센터가 피해 촬영물을 삭제한 건수는 지난해 21만3602건으로 전년 대비 25.8%나 증가했다.
센터는 아동이나 청소년 성 착취물의 경우 피해자 요청이 없어도 점검을 통해 선제적으로 삭제 조치하고 있으며 지난해 삭제한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은 4만8719건에 달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도넛 가격으로 끼니 해결"…미국인도 못 참는 '한국 음식' [안재광의 대기만성's]
- 틱톡에 수천만원 입사 선물 자랑했다가…결국 해고 당했다
- "마트서 완판 행진"…홍콩서 대박 난 볶음밥 '반전 정체' [양지윤의 왓츠in장바구니]
- 몸에 좋대서 즐겨 먹었는데…'농약 범벅' 아보카도의 배신
- '사진 한 장' 무심코 찍었다가…기재부 발칵 뒤집힌 사연 [관가 포커스]
- 팬들 앞에서 사타구니에 손…'사고뭉치' 호날두, 추방 위기
- '디올' 입던 김주애…이번엔 2만원짜리 블라우스, 왜?
- '환승연애' 정현규, 재력 이 정도? "실수로 23억 수표 버려"
- 200만 유튜버도 당했다…"피싱인줄 알았는데 전세사기"
- 아기 옷 열어보니 '야옹'…황당한 마약밀매 수법에 러 '발칵'